노인 절반 “자녀와 따로 살고 싶다”…자녀 양육 어려운 점 “보육비용”

받고 싶은 복지서비스 “건강검진”
“장애인 차별 심하다”는 74.6%

   
▲ 노인들이 겪고 있는 가장 어려운 문제
■  복지분야   “60세 이상 노인 중 향후 자녀와 같이 살고 싶은 지” 여부를 물은 결과 ‘그렇다’는 노인이 47.5%, ‘그렇지 않다’는 노인은 52.5%로 조사됐다. “자녀와 따로 살고 싶다”고 대답한 노인들은 장래 살고 싶은 곳으로 자기 집(85.3%)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은 무료양로원 및 요양원(8.9%), 유료양로원 및 요양원(4.5%) 등의 순이었다. 또 현재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비율은 도시가 47.9%로 농·어촌지역 26.8%보다 21.1% 포인트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가(42.6%)가 남자(38.7%)보다 많았다.

현재 자녀와 같이 살고 있지 않은 노인(59.1%)의 경우, 그 이유는‘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가 38.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자녀의 직장·학업 때문 20.6%, 수입·건강 등 독립생활이 가능해서 20.3%, 자녀에게 부담이 될까봐 16.0% 순이었다. 생활비 마련방법은 본인 및 배우자 부담 59.1%, 자녀 또는 친척 36.2%, 정부 및 사회단체 4.5%로 나타났고, 생활비를 본인이나 배우자가 부담하는 경우, 그 방법은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66.1%), 연금·퇴직금(14.6%), 이자·임대·배당소득 등 재산소득(11.5%), 예금·적금(7.8%) 순이었다.

   
▲ 60세 이상 노인들은 “향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공공시설”로는 ‘사회복지시설’이 21.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보건의료시설 20.7%, 주차시설 13.0%, 공원․유원지 12.9% 순으로 나타났다.

“60세 이상 노인들이 겪고 있는 가장 어려운 문제”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45.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건강문제(27.1%), 소일거리 없음(6.8%)의 순이었다.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가구주는 63.5%로, 이들의 주된 노후준비 방법은 국민연금(35.9%), 예금·적금(22.8%), 사적연금(20.2%)의 순이었다.

“향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공공시설”은 ‘사회복지시설’이 21.3%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보건의료시설 20.7%, 주차시설 13.0%, 공원·유원지 12.9% 순이었으며,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은 사회복지시설(21.2%), 농어촌지역은 보건의료시설(29.3%)을 가장 필요한 공공시설이라고 응답했다. 연령별로 보면 10대는 도서관, 20대는 공원·유원지, 30대는 보육시설, 40대는 사회복지시설, 50대 이상은 보건의료시설을 가장 선호했다.

“보육비 정부지원 확대해야”

이번 조사에서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어렵게 느끼는 졈으로 57.7%의 가구가 ‘각종 사교육비 등 보육 비용 부담’을 꼽았다. 다음으로 안심하고 맡길 곳이 없다(23.0%), 긴급상황 때 도와줄 사람이나 시설이 없다(9.1%), 배우자나 가족의 협조가 부족하다(8.5%) 등이 뒤를 이었다.

보육비 부담을 꼽은 응답률은 어머니가 전업주부인 가구는 62.2%에 달했고, 시간근무제(64.0%)나 전일근무제(50.5%)인 경우도 높기는 마찬가지였다. 자녀를 보육기관에 보내는 데  드는 비용이 소득에 비해 ‘부담된다’고 답한 가구는 75.2%였고, 3.7%만이 ‘부담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보통’은 21.1%였다. 부담된다는 응답률은 도시권(76.4%)이 농어촌(68.4%)보다 높았다.

“정부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보육 문제”로는 43.5%가 ‘보육비 지원확대’를 들었고, 보육서비스 질적 향상(21.2%)과 보육시설 확충(15.1%) 요구도 많았다. 또 “낮 시간이나 방과 후 만 10살 이하 자녀를 보살피는 주체(복수응답)”로는 ‘부모’라는 응답이 60.5%로 가장 높았으나 지난 2002년 조사(62.6%)보다는 다소 낮아졌다. 할머니 등 가족이나 친인척도 같은 기간 14.8%에서 2.8%로 떨어졌다. 대신 ‘학원’이라는 응답은 2002년 14.1%에서 33.1%로 급등했고, 보육시설(7.5%→ 14.0%), 유치원(5.3%→ 13.8%), 혼자 또는 아이들끼리 보냄(6.9%→9.2%), 방과 후 교실(0.1%→ 4.4%) 등의 응답률도 높아졌다.

   
“보육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가구”는 그 이유로 52.9%가 ‘부모를 포함해 가족이 돌보는 게 안심되기 때문’이라고 답했으나 24.8%는 ‘보육료 부담’을 들었다. “보육기관을 이용하는 가구”는 자녀 발전(45.9%), 예·체능 특기교육(18.3%), 학습지도 필요(17.7%) 등의 순으로 그 이유를 들었다.

‘자녀가 다니는 보육기관에 대한 만족 여부에 대해서는 만족스럽다’는 답변이 45.6%, 보통이라는 답변이 44.4%를 차지했고, 불만족스럽다고 답한 가구(9.9%)는 비용부담(49.3%)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보육기관 선택에서 최대 고려사항”으로는 교육내용(48.5%), 원장의 운영철학이나 교사 자질(15.1%), 집과 거리(11.1%) 등을 꼽았고, “우선적으로 확충됐으면 하는 시설”로는 방과후 교실(32.6%), 직장 보육시설(23.4%), 야간·24시간·휴일·시간제 보육시설(22.3%), 영아 전담시설(11.1%) 등의 순이었다.

장애인, 고용촉진·장애수당 원해

‘우리 사회의 교육, 고용 등 생활 전반에 장애인 차별이 심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74.6%에 달했다. 하지만 조사대상의 89.1%는 ‘평소 자신은 장애인 차별을 하지 않는다’고 답해 사회의 장애인 차별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인식간에 차이를 보여줬다. 특히 나이가 많을 수록 ‘자신이 장애인 차별을 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장애인들은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사회에서 장애인 차별이 심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을 대하는 비장애인의 바람직한 태도”에 대해 64.7%는 ‘장애를 고려해 더 배려해야 한다’고 여겼으며, ‘비장애인과 똑같이 대해야 한다’는 사람이 30.5%, ‘차별해서 대할 수밖에 없다’는 사람이 4.8%로 집계됐다. 반면, ‘장애인들의 경우 비장애인과 똑같이 대해야 한다’는 사람이 32.7%로 비장애인보다 많았으며,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똑같은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늘었다.

   
▲ 사회의 장애인 차별
“집 근처에 장애인 생활시설이나 재활시설 등이 설립되는 것”에 대해 53.0%는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답했지만, 42.2%는 ‘내키지는 않지만 반대는 안 한다’고 답했고, ‘반대하거나 절대로 안 된다’는 사람도 4.8%에 달했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확대해야 할 장애인 복지사업”으로 장애인은 37.3%가 ‘장애수당 지급’, 26.8%는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사업’, 21.4%는 ‘의료비 지원’을 각각 꼽았다. 반면 비장애인의 52.0%는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사업을 우선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고, 의료비 지원(15.5%), 장애수당 지급(15.4%)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 1년 동안 장애인을 위한 봉사활동에 참여한 15세 이상 인구는 8.5%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