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터저널」7월호 참조>

지난해 8월 29일 시속 280km의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미국 남부 멕시코만을 강타해 뉴올리언스의 제방이 무너져 도시 전체가 물에 잠겨 1천306명이 사망했고 6천700여 명이 실종됐다.

   
이재민도 100만 명 이상이 발생, 아직도 상당수 이재민이 수용소 생활을 하고 있다. 미 정부는 도시 재건에 400억∼600억 달러(약 40조∼60조 원)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최근 지구촌 곳곳에서는 지구 온난화, 엘니뇨현상 등 범지구적 기후변화로 홍수, 태풍 등 자연재해 규모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다. 특히 인구와 자산이 밀집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피해가 빈번이 발생하고 있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고 있다.

우리나라는 대부분 도시지역 저지대에 인구 및 자산이 집중돼 있다. 또 대지도 대부분 포장돼 있어 비가 오면 빗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지 못하고 곧바로 하천으로 흘러들어 하천 범람의 원인이 돼 왔다.

한 조사보고서에 의하면 하천 주변의 도시화와 집중화 등으로 인해 침수면적당 피해액이 1970∼80년대에 비해 약 7배나 높고, 2003년을 기준으로 과거 30년간 재해로 인한 연평균 재산피해액이 10년마다 3.2배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1년 여름 서울지역에서 단 이틀 사이에 내린 폭우로 인해 무려 44명이 목숨을 잃었고 144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또 저지대의 많은 주택이 침수되는 등 재산상 피해가 584억 원에 달해 도시지역의 홍수가 얼마나 무서운지를 여실히 증명해 주었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1995년부터 2004년까지 10년간의 자연재해 피해액은 총 19조5천652억 원으로, 이 중 90%가 도시지역에서 발생한 피해액이라고 하니 도시지역의 홍수피해를 막을 방법이 시급하다.

그러나 홍수관련 법규 및 시설물 관리 주체가 달라 일관되고 체계적인 도시홍수 관리대책 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격적인 장마철로 접어들었다. 기상청은 7월 이후에는 국지성 집중호우와 2∼3차례의 태풍이 내습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각종 기상정보 및 예고지표에 의하면 금년 여름에는 풍수해로 인한 피해가 예년보다 클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지는 장마철을 맞아 도시지역 수해방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기 위해 ‘도시지역 홍수 위험요소 많다’라는 주제로 △도시지역 홍수피해 사례 △도시 홍수관리 문제점 △일본의 도시 홍수제도 및 예방사례 △효율적인 도시홍수 관리방안(전문가 의견) 등에 대해 특집으로싣는다.  
   

■ 글 싣는 순서 ■

Part 01  도시 수해 피해사례
Part 02  도시 홍수관리의 문제점
Part 03  일본 도시홍수 제도 및 예방사례
Part 04  [전문가의견] 효율적인 도시홍수 관리/심우배 박사(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