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해요인 예방·어린이 먹거리 안전 역점

   
▲ 문창진 식품의약품안전청장
우리 국민의 식품안전기대치는 OECD 국가 중에서도 상위권에 와 있으나 지난해 과자의 아토피 유해논란, 학교급식 집단식중독 사고, 비타민C 음료 벤젠 검출 파문, 올리브유 벤조피렌 소동, 패스트푸드 트랜스 지방 문제 등 식품관련 이슈가 끊이지 않고 제기된 것처럼 식품행정인프라나 공급자의 안전 수준은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식약청에서는 이러한 국민의 기대치와 눈높이에 맞는 안전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잠재적 위해요인을 사전에 점검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평가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확고히 정착시킬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119개 국가로부터 식품을 들여오고 있는 대표적인 식품수입국가로서, 가공식품 원료의 8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올해부터는 수출국의 식품제조공장이나 생산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사전에 안전관리를 할 수 있는 제도를 확대하고, 통관시의 위해성분 무작위 정밀검사 비율을 10%로 확대하여 문제가 있는 식품의 국내유통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관리 할 것이다.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이 큰 이유 중 하나는 식품의 위해정도에 따른 국민과의 정확한 의사소통이 제대로 안되기 때문이다.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식약청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광우병, 조류독감과 관련하여 회원국들에게 권고한 리스크커뮤니케이션(Risk Communication)을 도입하여 매뉴얼을 개발, 시행하고 있다.

그리고 식품안전 열린포럼을 개최하여 논란이 되는 문제에 대하여 전문가, 소비자, 업계가 같이 참여하여 공개적인 토론을 통해 대책을 같이 모색해오고 있다.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 전달 식품경보시스템 설치

새해에는 지난해의 경험을 토대로 일종의 식품경보시스템인 ‘식품안전창’을 설치하여 위험정보를 투명하고 정확하게 소비자에게 알릴 계획이다. 식품안전창에는 위험정도에 따라 경보단계를 나누고, 단계별 조치방안과 소비자 가이드라인 등을 담아, 불필요한 사회적 파장이나 국민불안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잘못된 식습관으로 미래세대의 주역인 어린이들의 비만율이 급등하고 있다. 트랜스 지방산, 당, 나트륨의 과다섭취로 우리사회의 건강 적신호가 켜진 상태이다.

식약청에서는 작년 5월 학계, 시민단체, 법조계, 업계 인사들이 참여한 ‘어린이 먹거리 안전위원회’를 구성하여 ‘어린이 먹거리 안전 로드맵’을 마련하였으며, 금년부터 이를 식약청의 핵심사업으로 추진 할 계획으로 있다. 어린이 먹거리 안전대책은 어린이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이는 방안과, 학교급식의 위생적 관리 및 학교 주변의 식품위생환경을 관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학교급식사고도 국민 불안요인이 되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학교급식의 인적 물적 인프라 개선 구축 작업을 맡고 식약청 등 보건당국에서는 식중독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관리와 위생적으로 안전한 식자재 공급을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겨울철 식중독의 주범으로 알려진 노로 바이러스의 오염경로를 구명하여 이를 사전에 차단하는 노력을 집중적으로 경주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