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기획] 물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자

   
지난달 남·북한에 내린 폭우로 강원 북한강과 소양강이 황토색 흙탕물로 변해 지난해에 이어 흙탕물 사태가 재연되고 있다.

한강수력발전처와 한국수자원공사 소양강댐관리단에 따르면 북한지역에서 발생한 흙탕물이 북한강 수계로 유입되면서 평화의댐, 화천댐, 춘천 의암댐 등은 황토빛으로 물들고 있다.

소양강댐, 의암댐의 흙탕물 방류는 올해 처음 일어난 현상이 아니라 수년째 지속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7월 중순 강원도 지역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면서 대량의 흙탕물이 소양강댐으로 유입되면서 9개월 가까이 지속되었다.

탁수(濁水) 기간은 2002년 70일, 2003년 64일, 2004년 45일이었고, 2005년에는 없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홍수로 19억 톤의 흙이 소양강댐 상류로 흘러들면서 수심 100m 이하에 1천NTU 정도의 탁수층이 형성됐고, 이 탁수층이 소양강댐 발전 방류구 높이와 같아 소양강댐 하류에 흙탕물 사태가 빚어졌다.

흙탕물은 소양강댐 상류지역의 고랭지 농토에서 발생하고 있다. 한강 수계 최상류 지역에는 전국 고랭지밭의 85%가 몰려 있으며, 소양강댐 상류지역의 홍천군 자운지구와 인제군 가아지구 및 서화지구, 양구군 해안지구 등은 국내 대표적 고랭지지역으로 손꼽히고 있다.
탁수문제는 수중생태계를 파괴하고, 상수원을 오염시키며, 물이 가지는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훼손시키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 글 싣는 순서 ■

Part 01. 소양강 탁수발생 실태와 환경생태학적 영향 / 김범철 교수(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Part 02. 임하댐 탁수발생 실태·대책 / 김정곤 책임연구원(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Part 03. 북한강 상류 농경지 탁수발생 원인·관리대책 / 전만식 박사(강원발전연구원 책임연구원)
Part 04. 유사(流砂)·탁수발생 메커니즘과 대응책 수립방안 / 손광익 교수(영남대 토목공학과)
Part 05. 고랭지밭 관리 정부대책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