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Focus  


2018년 상수도 보급률 99.2%…총 급수인구 5천265만명
수돗물 공급량 66억5천600만㎥ 중 7억2천㎥ 누수로 손실

수돗물 평균 요금 1㎥당 736.9원…특·광역시가 전국 평균보다 대체로 낮아
1인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 295L로 전년 대비 6L 증가…10년간 증가 추세


 2018년 상수도 통계

환경부가 지난 1월 15일 발표한 ‘2018년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2018년도 우리나라의 수돗물 보급률은 전년 대비 0.1%p 상승한 99.2%로 5천265만 명이 급수혜택을 받았다. 이 중 마을상수도와 소규모 급수시설을 통해 수돗물을 공급받는 인구는 전체의 2.2%인 115만4천 명이다. 농어촌지역 보급률은 94.8%로 전년 대비 0.5%p 상승했으며 전국 보급률과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8년 말 기준 국내 수도관 총 연장길이는 21만7천150㎞로 2017년 대비 8천116㎞ 증가했으며, 이 중 지방상수도는 21만1천771㎞(97.5%), 광역상수도는 5천379㎞(2.5%)다. 설치 후 30년 이상 경과된 관로는 2만7천552㎞로 전체 관로의 12.7%를 차지했다. 30년 이상 된 관로 비율은 경북 울릉군이 51%로 가장 많았으며, 30년 이상 된 관로 연장길이는 서울특별시가 2천830㎞로 가장 길었다.

환경부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국고 약 318억 원을 투입해 전국 161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노후 상수관로의 실태를 면밀히 조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노후관 교체·개량이 시급한 지역의 상수관망 정비사업이 조속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수돗물 공급 총량 66억5천600만㎥

2018년 지리정보체계(GIS)를 구축한 총 관로길이는 15만810㎞며, 전체 관로 중 지리정보체계 구축률은 69.4%로 2017년 대비 1.4%p 증가했다. 지리정보체계는 지리정보를 필요 목적에 따라 수집, 저장, 변환한 컴퓨터 응용 시스템으로 상수도의 경우 수원지, 취·정수장, 배수지 급수전 및 관로설비, 제어설비 등 정보를 구축해 사용한다.

구축률이 100%에 가까운 특·광역시에 비해 일반 시·군 지역의 지리정보체계 구축률은 낮았다. 시·도 중에서는 전남 44.2%, 전북 45.5%로 가장 낮았다. 또한 전남 10곳, 경북 7곳, 경남 6곳 등 총 39개 지자체는 아직까지 관로 지리정보체계를 구축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어, 환경부는 관로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지리정보체계 구축을 독려할 계획이다.

2018년 우리나라에서 공급한 수돗물 총량은 66억5천600만㎥다. 상수도관 노후 등으로 연간 수돗물 총 생산량의 10.8%인 7억2천만㎥의 수돗물이 수용가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새나갔다. 이를 2018년도 생산원가 기준으로 환산하면 손실액은 6천581억 원으로 추산된다. 누수율이 가장 낮은 지자체는 서울(2.4%)이며, 누수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43.3%)로 나타났다. 국민 한 사람 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가정용과 영업용(식당, 사무실 등) 등을 포함한 생활용수 전체의 경우 전년 대비 6L 증가한 295L로 2008년 이후 증가 추세에 있다.

 
요금현실화율 80.6%…전년 대비 증가

수돗물 평균 생산원가는 1㎥당 914원이며, 수도요금 현실화율(생산원가 대비 수도요금)은 80.6%로 전년 대비 0.1%p 증가했다. 전국 수돗물 평균 요금은 1㎥당 736.9원이며, 서울 569원, 대구 686원, 인천 665원으로 특·광역시의 경우 대체로 전국 평균보다 요금이 낮았다. 강원도 1천11원, 전라북도 952원, 충청남도 895원으로 경기를 제외한 시·도의 평균 수도요금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지자체 수도요금은 원가보상, 시설 유지비용 등 수도사업자인 지자체 여건을 고려해 조례로 정하도록 하고 있어 지자체별 요금 격차가 발생한다. 도시지역은 농어촌지역보다 인구밀도, 정수장 규모 등 지자체 여건이 양호해 상수도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보인다. 반면, 농어촌지역의 1인당 관로 길이는 도시지역 대비 평균 약 8배 수준으로 유지비용이 많으며, 급수보급률 제고(提高)도 함께 추진하고 있어 관련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단순한 상수도시설 보급을 넘어서 시설을 선진화하고, 관리·운영을 고도화해 국민 모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깨끗한 물을 제공할 것”이라며 “더불어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도시설 설치·개량비용 등을 지원해 지역별 요금격차가 완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2018년 상수도 통계’는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www.waternow.go.kr)을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다.

서울·부산·대구 등 7곳 보급률 100%

■상수도 보급 현황 2018년 말 기준 전국 161개 지방상수도사업자(특·광역시 7, 특별자치시 1, 특별자치도 1, 시 75, 군 77) 및 1개 광역상수도사업자가 전체인구의 99.2%인 약 5천265만3천 명에게 상수도를 공급하고 있다. 전국 상수도 보급률은 99.2%로 전년 대비 0.1%p, 농어촌지역은 94.8%로 전년 대비 0.5%p 상승했다. 2009년 97.4%, 2012년 98.1%, 2015년 98.8%, 2018년 99.2%로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행정구역별로 비교해 보면 8개 특·광역시가 100%로 상수도 보급률이 가장 높았고 시 지역(동 지역)이 99.7%, 읍 지역이 97.9%, 면 단위 농어촌지역이 94.8% 순이었다. 지역별 상수도 보급률은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 등 6개 광역시와 제주특별자치도, 경상남도에서 99.7% 이상으로 높고, 전라남도(96.7%), 충청남도(97.1%), 강원도(97.2%)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취수장 가동률 70.1%…제주도 최고

 
■취수시설 현황  2018년도 우리나라 상수도 시설의 하루 취수시설 용량은 3천286만1천㎥고, 취수원별로는 댐 1천481만㎥/일(45.1%), 하천표류수 1천511만2천㎥/일(46.0%) 하천복류수 189만5천㎥/일(5.8%), 지하수 60만1천㎥/일(1.8%), 기타저수지 44만3천㎥/일(1.3%)이다.

연간 취수량은 69억1천800만㎥로 집계됐다.취수원별 취수량은 댐이 32억1천700만㎥/년(46.5%)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하천표류수 30억300만㎥/년(43.4%), 하천복류수 4억6천600만㎥/년(6.7%), 지하수 1억5천600만㎥/년(2.3%), 기타저수지 7천600만㎥/년(1.1%) 순이다.

2018년 전체 취수장 가동률은 70.1%이고, 이 중 지방상수도의 가동률은 66.4%, 광역상수도의 가동률은 75.3%로 전년 대비 각각 1.9%p, 0.6%p 증가했다. 지역별 취수장 가동률은 제주특별자치도(105.6%), 전라북도(97.5%), 충청북도(96.2%) 순으로 높고, 부산광역시(46.7%), 대전광역시(52.6%), 충청남도(56.6%)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소규모 수도시설 매년 감소 추세

■정수시설 현황  국내 정수장에서는 급속여과방식의 정수처리를 가장 많이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수처리방식별 시설용량은 급속여과방식 1천506만5천㎥/일(55.1%), 고도처리방식 1천120만2천㎥/일(41.0%), 완속여과방식 53만6천㎥/일(2.0%), 소독만의 방식 30만8천㎥/일(1.1%), 막여과방식 21만2천㎥/일(0.8%)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정수장 가동률은 79.8%로 전년 대비 2.5%p 증가했다. 이 중 지방상수도의 가동률은 77.9%로 전년 대비 2.7%p 증가했고, 광역상수도의 가동률은 85.1%로 전년 대비 2.0%p 증가했다. 지역별 정수장 가동률은 제주특별자치도(128.1%), 전라북도(100.1%), 경상북도(99.5%) 순으로 높고, 대전광역시(53.8%), 충청남도(68.1%), 인천광역시(69.0%)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 소규모 수도시설 현황  지방·광역 상수도 이외의 시설인 소규모 수도시설은 2018년 말 기준 총 1만4천933개소이며, 2009년 2만1천537개소에서 2012년 1만9천52개소, 2015년 1만7천290개소 등 매년 감소 추세에 있다.

 
■배수지 현황  2018년 배수지 총 용량은 1천143만6천㎥(2천253개소)로 전년에 비해 19만㎥ 증가했다. 지역별 배수지는 경상북도가 341개소, 전라남도 296개소, 경상남도가 282개소로 많고, 세종특별자치시가 14개소, 광주광역시 16개소, 울산광역시가 26개소로 적게 나타났다.

배수지 시설용량의 경우 경기도가 298만1천㎥, 서울특별시 241만9천㎥ 순으로 크고, 세종특별자치시가 6만1천㎥, 대전광역시 7만9천㎥, 제주특별자치도가 19만5천㎥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설치 후 16년 이상 수도관 45.9%

■관로 현황  2018년 말 기준 국내 수도관 총 연장 21만7천150㎞ 중 지방상수도는 21만1천771㎞(97.5%), 광역상수도는 5천379㎞(2.5%)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수도관 총 연장 중 설치된 지 21년 이상 경과된 관은 전체의 33.0%인 7만1천68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16∼20년 경과된 관은 2만7천908㎞(12.9%), 11년∼15년 경과된 관은 3만5천704㎞(16.4%), 6∼10년 경과된 관은 4만5천231㎞(20.8%), 5년 이내의 관은 3만6천621㎞(16.9%)인 것으로 조사됐다.

 
 
연도별 수도관의 신설, 교체, 개량 현황을 살펴보면 2018년의 경우 전체 수도관 중 신설률 3.1%, 교체율 0.6%, 개량률은 0.5%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하여 수도관 신설률은 0.6%p 증가했으며, 교체율은 동일, 개량률은 0.4%p 감소했다.

 
관종별로는 덕타일주철관이 5만3천20㎞로 전체의 24.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이어 △PE관 4만2천751㎞(19.7%) △PVC관 2만6천823㎞(12.3%) △스테인리스관 2만4천878㎞(11.5%) △내충격수도관 2만988㎞(9.7%) 순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액상에폭시 도복장강관 9천343㎞(4.3%) △에나멜코팅 도복장강관 9천451㎞(4.3%) △아연도강관 768㎞(0.4%) △동관 287㎞(0.1%) △흄관 36㎞(0.0%) △기타 1만5천977㎞(7.4%)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관 연장 중 취수시설에서 정수장으로 연결되는 도수관은 3천505㎞(1.6%), 정수시설에서 배수구역으로 이어지는 송수관은 1만1천877㎞(5.5%), 배수지역에서 급수지역으로 연결되는 배수관은 11만2천174㎞(56.3%), 배수관에서 가정 등 일반 수용가로 전달되는 급수관은 7만9천595㎞(36.6%)를 차지한다.

배수블록 시스템 운영 매년 확대

■GIS 구축 현황  GIS 구축 관로연장은 15만810㎞로 전년 대비 8천621㎞ 증가했으며, 비율은 전국 평균 69.4%로 전년 대비 1.4%p 증가했다. 이 중 지방상수도는 14만5천431㎞(96.4%), 광역상수도는 5천379㎞(3.6%)를 차지했고, 지역별로는 경기도(2만8천359㎞), 서울특별시(1만3천571㎞), 경상남도(1만3천55㎞) 순으로 크고, 세종특별자치시(0㎞), 울산광역시(3천360㎞), 광주광역시(3천894㎞), 대전광역시(3천956㎞)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배수블록 시스템 구축 현황  배수블록 시스템은 복잡한 급수체계를 대·중·소블록으로 분할해 유량 및 수압에 대한 관망 감시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수량의 효율적 관리 및 안정적인 용수공급, 유수율 제고 목표 달성을 위해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배수블록 시스템 운영은 매년 확대되고 있으며, 2018년 말 현재 실행률은 대블록 72.4%, 중블록 63.6%, 소블록 68.3%로 나타났다.

지역별 배수블록시스템 구축현황을 살펴보면 대블록의 경우 서울·부산·대구·인천·울산광역시 구축률이 100%, 강원도 94.3%, 경기도 88.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블록의 경우 대구·울산광역시가 100%, 인천광역시 87.9%, 경기도 72.7% 순이며, 소블록은 부산·울산광역시가 100%, 서울특별시 97.6%, 인천광역시 92.8%의 높은 구축률을 나타냈다.

누수율 10.8%…전년대비 0.3%p 증가

■급수현황  2018년 우리나라에서 공급한 수돗물 총량은 66억5천600만㎥로 이 가운데 누수량 등을 제외한 실제 유효수량은 59억2천900만㎥, 유수수량은 56억5천200만㎥(유수율 84.9%)로, 전년 대비 유수율은 0.3%p 감소했고, 누수율은 10.8%로 0.3%p 증가했다.

 
■물 사용량 현황  2018년 업종별 물 사용량은 가정용이 35억2천900만㎥(62.4%)로 가장 많고, 영업용 16억7천100만㎥(29.6%), 공업용 1억3천600만㎥(2.4%), 업무용 1억3천500만㎥(2.4%), 욕탕용 7천100만㎥(1.3%), 기타 1천500만㎥(0.3%) 순으로 나타났다.

1인당 하루 물 사용량은 295L로 전년 대비 6L 증가했다. 지자체별 사용량을 살펴보면, 충청북도(399L), 강원도(332L), 제주특별자치도(321L), 인천(318L)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상수도 부채액 1천31억원 감소

■수도요금 현황  2018년 전국 평균 수도요금은 736.9원/㎥이며 생산원가 914.3원/㎥의 80.6% 수준으로 현실화율은 전년 대비 0.1%p 상승했다. 지역별 현실화율은 울산광역시 100.0%, 광주광역시 98.0%, 인천광역시가 97.4% 순으로 높고, 경상북도 62.1%, 전라남도 63.1%, 충청남도 63.5%로 낮게 나타났다.

 
■재정 및 직원 현황  2018년도 총 세입액은 9조2천73억 원으로 이 중 자본수입(수도요금, 과년도 이월금, 시설분담금, 수탁공사비 등)이 8조1천317억 원(88.3%), 보조수입(도(道) 보조, 교부세, 일반회계보조금 등)이 1조494억 원(11.4%), 기채수입(재정융자, 공채, 차관, 차입금 등)이 262억 원(0.3%)이다.

또한 2018년 말 기준 부채액은 3천29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천31억 원가량 감소했다.

2018년도 총 세출액은 9조2천73억 원으로 이 중 유지관리비(동력비, 인건비, 약품비, 수선유지비, 원·정수 구입비 등) 3조7천143억 원(40.3%), 공사비(확장, 개량 등) 2조3천589억 원(25.6%), 원리금 상환액(이자, 원금) 1천266억 원(1.4%) 순으로 나타났고 기타(이월금 등)는 3조 75억 원(32.7%)이다.

한편, 상수도분야 종사자 인력은 2018년 말 기준 직원 수가 1만4천138명으로 전년 대비 874명(6.6%)이 증가했다.

2016 상수도통계부터 기능직이 삭제되어 기술직을 정수시설운영관리사와 기타로 구분하고 있다.

[『워터저널』 2020년 2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