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건기연, “기후변화로 하천 식생 증가…홍수에도 영향”

‘강우 발생 패턴 변화·하천 수위 변화가 하천 식생 발생 미치는 영향’ 보고서 발표
전국 하천 식생조사와 더불어 식생 조절 통한 하천 복원 대책 수립 필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김병석, 이하 건기연)의 연구 결과, 기후변화로 계절별 강우발생 양상이 변해 하천 식생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이 과도하게 증가하면 하천 본연의 모습을 변화시켜 홍수 위험을 높일 우려가 있어, 하천 식생에 대한 조사와 복원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건기연이 지난 5월 17일 공개한 ‘강우 발생 패턴변화와 하천 수위 변화가 하천식생 발생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하천 식생의 증가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다. 모래나 자갈, 물이 있어야 할 부분이 식생으로 덮이면서 하천 고유의 모습이 사라지게 되고 수상생태계가 육상생태계로 바뀌는 육상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평상시 물이 흐르는 좁은 수로만 남겨두고 하천 전체가 식생으로 덮이는 것은 생태적인 측면이나 홍수관리 측면에서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특히, 과도하게 발생한 식생은 홍수 시 물의 흐름을 방해해 홍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2020년 큰 홍수가 발생한 섬진강의 경우 조사대상 구간(고달교~구례교, 22㎞)의 56%가 식생으로 덮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강원도 횡성군 섬강의 식생 변화. 사진 왼쪽부터 2010년, 2012년, 2016년 모습.

하천 식생은 2011년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경북 영주 내성천에서는 2011년에서 2017년 사이 식생 면적이 16.5배 증가했다. 경기 여주 청미천은 2010년 이후 6년 동안 2배 증가했다. 건설연은 이 같은 현상이 댐의 유무, 하천의 규모나 위치에 관계없이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2011년 이후 급격하게 발생하는 식생 발생은 기후변화와 관계가 있다. 1984년부터 2018년까지 35년 동안의 전국 19개 지점 월 강우량을 분석한 결과, 최근 7년(2012~2018년)간 월별 강우 발생 양상이 과거(1984~2011년, 28년)와는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봄 강우량은 늘어난 반면 여름 강우량은 크게 줄었다. 4월 평균 강우량은 71.5㎜에서 93.2㎜로 30% 증가한 데 비해 5월에서 9월 사이 강우량은 모두 감소했다. 6월에는 161.2㎜에서 82.2㎜로 49% 감소했다.

연구팀은 여름철(5~9월) 강우량 감소로 하천의 침수시간이 줄어들어 식생이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졌고, 결과적으로 식생의 증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강원도 횡성군의 섬강은 2012년 이후 하천 전체가 침수된 경우가 한 번도 없었고, 내성천은 2012년 1천202시간이던 침수시간이 급격히 줄어 2015년에는 0시간으로 나타났다.

이 결론은 일본 사례 분석으로도 증명됐다. 연구팀이 일본 중부지방 6개 지점의 강우량을 분석한 결과 5월에서 7월 사이 강우량이 최소 10%, 최대 34% 감소해 우리나라와 같은 양상을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 일본에서도 하천식생 과다 발생이 크게  문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원 건기연 선임연구위원은 “하천 식생에 대한 전국적인 조사와 더불어 하천 식생을 조절해 원래 하천의 모습으로 복원할 수 있는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응용생태공학회 논문집(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2020년 12월 31일자에 게재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주요 사업인 ‘친수·환경가치 제고를 위한 하천관리 기술 개발(2017)’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워터저널』 2021년 6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