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의존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 국산화 성공

실증실험 결과,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의 균등 분배 확인…
기술력 증대·경제성 향상 기대

구미정수장 신규 여과지에 적용…
성남정수장 고도처리사업 활성탄 공정에도 적용할 계획


 

수자원연구원, (주)SIB 공동 연구개발

최근 설계, 시공되는 신규 정수장 뿐만 아니라 기존 정수장의 개·보수 공사에서도 여과지 역세척이 물·공기 병용 역세척 방식으로 설계됐으며, 이에 필요한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는 대부분 수입제품에 의존했다. 수입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를 국산화시키는 작업의 시급성을 인식하고 에스아이비(주)와 한국수자원공사는 기존 제품의 특징과 장점을 충분히 검토하고, 이를 개선시키기 위해 2002년도에 하부집수장치에 대한 기초 연구에 착수하여 2004년에 개량된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캄에 대한 특허를 획득했고, 2006년 중소기업청에서 지원하는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에 의거 제품개발을 완료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개발이 완료된 SIB Block을 실제 운영중인 정수장의 여과지에 적용하기 위한 전 단계로 수자원공사 내 S정수장 기존 여과지의 스트레이너 블록을 철수하고 SIB Block으로 대체 시공하여 역세척 효율과 성능을 검증했다. 또한, 수자원연구원 상하수도교육센터 내 실증플랜트에 적용하여 비교평가를 수행하고자 했다.

SIB Block의 구조 및 특징

   
▲ [그림1] SIB Block의 균등분배 원리
SIB Block의 역세척수 균등분배 원리는 [그림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중 격벽 구조의 길이 방향 상부 표면에 뚫린 구멍을 통해 물과 공기의 균등분배가 가능하다. 1차 격벽 구조로 공급된 물과 공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속도수두는 감소하고 압력수두는 증가하는데 1차 격벽 구조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물과 공기가 빠져나간다.

   
▲ [그림2] 회수수 충돌 회피 효과의 극대화

2차 수로에서는 역으로 압력수두는 감소함으로서 1차수로와 2차수로의 압력 분포가 서로 합쳐져 분출될 때는 균일해진다. 결국 SIB Block의 상부 표면에서 빠져나가는 물과 공기의 압력은 일정해져서 균등 분포가 이루어진다. 여과지의 역세척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물과 공기를 병용한 역세척이 일반화되고 있다.
공기를 이용한 역세척 과정에서 공기층의 상승로를 따라 여과지에 남아 있던 물이 하부집수장치의 상판으로 내려오며 충돌을 일으킴에 따라 역세척 공기의 균등분배를 방해한다. SIB Block은 [그림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부단면을 요철형으로 만들고 철부의 중앙에 물과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구멍을 둔다.

   
▲ [그림 3] SIB Block의 주요 구성

구멍 주변에 상부로 돌출한 산이 둘러싸도록 하여 공기로 역세척하는 동안 여과재에 남아 있던 물이 아래로 내려오는 회수수와의 충돌을 피하도록 한다. 또한 상부로 분출되는 공기를 빗겨 내려간 회수수는 상부 표면의 요부를 통해 충돌을 더욱 적극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공기를 이용한 역세척 시 공기분출이 차단되는 구멍이 없도록 하여 균등분배 효과를 배가시켜 준다.
SIB Block의 주요 구성은 [그림 3]과 같다.

SIB Block의 개발 과정

금형 모델링
상부가 요철형인 유공블럭을 사출해 내기 위해 금형 작업에 착수했다. 우선 2차원 컴퓨터 설계과정을 통해 유공블럭의 1차 송수용 다공관과 2차 분배용 다공관 그리고 상부 요철 구조 등 각 부분의 정확한 모양과 치수 등의 규격을 표현했다.

   
▲ [그림 4] 유공블록의 2차원 컴퓨터 설계
 2차원 도면을 근본으로 유공블럭의 각 단위체가 앞과 뒤가 암수 구조로 되어 있어 서로 연결되고 연결된 부위가 수밀하여 물이나 공기가 세지 않아야 하는 점을 감안,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했다. 유공블럭의 각 부위 구조와 치수를 확인하고 3차원 화면을 통해 여러 방향으로 돌리면서 실물 구조의 모양을 확인했다.

- 모의 여과지 : 400mmW×6천mmL×600mmH
- 유공블록 : 300mmW×943mmL×325mmH
- 유공블록 연결체: 300mmW×5천400mmL×325mmH
- 역세척 시나리오
물 역세척 속도 : 0.85m/min
병용 역세척 속도 : 물 0.29 m/min, 공기 1 m/min
- 역세척용 펌프 : 69㎥/min, 10HP, 100A-80A, 양정 18m
- 역세척용 블로워 : 5HP, 65A, 토출압 0.4kgf/㎠

   
▲ [그림 5] 유공블록의 결합구조를 3차원 모델링 수행 결과

금형 및 시사출
컴퓨터를 이용한 3차원 모델링을 근거로 금형을 제작하여 사출품을 뽑고 사출품의 모양과 치수 등을 측정하여 사출품과 모델링과의 차이와 제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했다. 몇 차례에 걸친 금형 수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사출품을 완성했다.

 

 

 

 

 
▲ [그림 6] 유공블록 결합부위의 절단면 확인

사출된 유공블록형 하부집수장치를 이용한 균등분배 확인
상부를 요철형으로 개량하여 금형으로 제작하고 사출과정을 거쳐 나온 유공블록을 6개 일렬로 연결하여 역세척 시나리오에 따라 유공블록의 균등분배 성능을 확인했다. 유공블록의 성능 실험을 위하여 제작한 모의실험장치의 구성과 규격은 다음과 같다.

   
▲ [그림 8] 모의실험장치의 전체 구성도
(1) 역세조건 1(물역세척 속도 0.85m/분)= 물로만 역세척할 때의 역세척 속도인 0.85m/분의 조건으로 펌프를 통해 물을 공급했다. 하부집수장치 위에 놓이는 자갈층을 대신하는 메디아 캡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관찰했다. 송수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하부집수장치의 말단부에 이르기까지 유공블록 상부의 분배관으로부터 솟아오르는 물줄기가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메디아 캡을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캡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구멍으로 물이 분산되면서 균등분배 양상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 [그림 9] 물로만 역세척할 때의 상부 통수공을 통해 역세척수 상승 장면

   
▲ [그림 10] 물로만 역세척 시 수평방향에서 관찰한 장면
(2) 역세조건 2(병용 역세척, 물 0.29m/분, 공기 1m/분)= 역세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역세척 조건인 물과 공기를 병용하여 역세척 하는 과정을 실험장치를 통해 확인했다. 우선 모의 여과지에 물을 채우고 메디아 캡을 설치하지 않고 물공기 병용 역세척을 수행한 결과 유공블록 상부에 형성된 분배관으로부터 균등하게 공기가 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기와 함께 분출되는 물의 흐름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는 없었다.
다음은 유공블록 상부에 메디아 캡을 설치하고 물공기 병용 역세척을 수행했다. 유공블록 상부에 형성된 분배공으로 나온 공기가 메디아 캡을 거치면서 메디아 캡이 산기관 역할을 하여 공기가 잘게 나누어지면서 분출되는 공기의 분산효과가 더욱 잘 나타났다.

   
▲ [그림 11] 메디아캡 설치 전·후의 물 공기 병용 역세척 장면 설치 전

   
▲ [그림 11] 메디아캡 설치 전·후의 물 공기 병용 역세척 장면 설치 후

SIB Block의 현장 실증

   
▲ [그림 12] SIB Block 설치 개념도
여과재 포설전 물과 공기 분배
SIB Block의 현장 실증 실험을 통한 평가는 크게 여과지 내 여재의 포설 전과 포설 후 각각 수행됐다. 여재의 포설 전에 SIB Block이 설치 완료된 상태에서 공기와 물을 각각 또는 병행하여 유입시키면서 물과 공기의 분배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했다.

   
▲ 여재포설전 물 단독 세정(물 역세속도 0.3∼0.8m/분)

[그림 1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여재 포설전 공기와 물의 단독 주입에 따라 SIB Block을 통해 유입되는 역세척 공기 및 물의 균등분배를 확인했다. 여재 포설 전 상황에서 역세척수의 균등분배는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워 물을 채워 놓은 상태에서 공기를 공급하여 기포의 분포를 보고 확인했다. 공기가 일정한 유속으로 공급되는 동안 기포의 분포가 균일하게 나타났다. SIB Block의상부에 설치된 Media Plate를 제외하고는 누기되는 부분이 없음도 확인했다.

 

   

▲ 여재포설전 공기 단독세정 Ⅰ(공기 역세속도 0.87m/분)

 

여과재 포설 후 물 공기 분배
여과재로서 모래(유효입경 0.45∼0.7, 균등계수 1.7 이하)를 포설한 후 역세척수와 공기를 주입하며 균등분배 상태를 점검했다.

 

 

 

 

 

 

   
▲ 여재포설전 공기 단독세정 Ⅱ(공기 역세속도 0.87m/분)
(1) 물 단독주입 역세척 = 통상적으로 역세척 공정은 정지된 여재에 빠른 유속의 세척수를 통과시켜 발생되는 전단력을 이용하여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탁질을 떨어뜨리고, 여재의 표면에서 탈리된 탁질이 역세수와 함께 보다 쉽게 배출되도록 여재 공극을 크게 하기 위해 여층을 팽창시키는 과정이다.
따라서 물 단독 주입 시 주입된 에너지의 대부분이 여층을 팽창시키는 데 소모됨에 따라 역세척 효율이 떨어지게 됨에 따라 공기세척을 통하여 역세척 효율을 배가시키는 공기병용 물세척 방식의 역세척 공정이 주로 도입된다. 그러나 하부집수장치의 원활한 균등분배 평가를 위하여 물 단독 역세척을 실시하면서 여층의 팽창상태와 흐름분포를 확인했다.

 

 

   
▲ [그림 14] 여재 팽창율 측정장치를 이용한 팽창율 측정(물 단독 주입)

무거운 여재(가격이 상승)또는 전단력을 상승시키는 공기 역세의 보조 세척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조립 모래로 구성된 여층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상당히 높은 역세율(수량)이 요구된다. 역세율은 여재의 비중을 작게 함으로서 낮아지나, 이 경우 여층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역세척이 되고, 느슨해진 탁질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10∼20분의 상당히 긴 역세시간을 필요로 한다.

 

 

   
▲ 팽창 높이 : 70mm
역세척은 일반적으로 여층의 팽창량에 의해서 구분된다.
Amirthrajah의 최소유동화 속도인 0.8072m/분보다 높은 역세속도 조건인 역세척 밸브 개도 60% 즉, 역세척 유속 0.8536m/분에서의 균등분배 및 팽창상태를 확인했다. [그림 14]에 나타난 바와 같은 여층 팽창율 측정장치를 제작 설치하고, 여과재 팽창을 확인한 결과 70mm 높이의 홀까지 많은 모래여재가 관측되어 그 높이를 팽창높이로 결정하고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10% 내외의 여재 팽창율을 구했다.


물 단독으로 역세척 유속 0.8536m/분에 의한 균등분배 확인결과, 여재 유실이 발생하지 않고, 10%의 여층 팽창율을 달성하면서 균등하게 역세척 수가 분배되어 트러프로 원활하게 배수되어 졌다. 역세척 동안 많은 밸브의 개폐가 수반되고, 특히 역세척수 공급밸브는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한다. 밸브는 천천히 그리고 충분히 설계역세 수량이 확보되도록 열어야 하며, 팽창된 여재는 균일하게 여상에 가라앉도록 충분히 천천히 닫아야 한다.
[그림 15]의 역세척 동안 사진과 역세 후 여상을 나타낸 사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물 단독 역세척시에는 밸브의 개폐 속도에 의해 역세척 후 균일한 여층표면 상태를 나타냈다.

 

   
▲ [그림 15] 물 단독 역세척 및 역세 후 모습(역세속도 0.83m/분)
(2) 공기 단독주입= 통상적으로 물 공기 병용 역세척 공정은 공기의 단독주입(Air Scouring)으로 역세척 과정이 시작된다. 이와 같은 공기 단독주입 과정에서의 여상 상태를 나타낸 [그림 16]을 보면, 균일하게 공기가 하부집수장치 및 여층을 통과하여 여층 표면을 심하게 교란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

 

 

 

   
▲ [그림 15] 물 단독 역세척 및 역세 후 모습(역세속도 0.83m/분)
(3) 공기·물병용 주입 후
= 물 공기 병용 역세척을 전제로 한 여과지 설계에서 여재를 물로만 역세척하면서 최소유동화속도에 이르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매우 빠른 유속(0.8072m/분)이 요구된다. 공기 역세가 병용되면서 공기가 여재의 세척에 같이 기여함으로서 공기를 0.874m/분의 유속으로 공급할 경우 물은 0.2987m/분의 역세 유속으로 여재의 세척에 필요한 충분한 collape-pulsing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 [그림 16] 공기 단독주입 시 여상 상황(공기 역세속도 0.87m/분)
단지 물과 공기가 병용되는 경우 공기에 의한 Boiling 현상 때문에 정확한 여상의 팽창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역세척 수가 트러프로 배출되는 시점까지 공기 역세가 진행되는 경우 여과사가 트러프를 통해 유실된 것을 목격했다. 여재 팽창율 측정 장치를 이용한 실험 결과 [그림 17]과 같이 팽창율이 50% 이상 되는 것을 실제 확인했다. 공기 유속 0.874m/분과 물 유속 0.35m/분(역세밸브 개도율 25%)의 공기 병용 역세척을 실시한 후, 단계적으로 역세수를 감속하지 않고 급격하게 역세척을 종료시킨 후 여상은 여재의 쏠림과 굴곡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여층 교란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역세척 수의 공급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 [그림 17] 물 공기 병용 역세척 시 여층 팽창율 및 역세척 중단 후 여층상태

공기와 물을 이용한 역세척을 실시하고 있는 급속여과지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역세척 절차를 이용하여 역세척 과정을 수행하면서 균등한 분배 및 역세 후 여상의 상태를 평가했다. 즉 여층 표면 15cm 부근에서 공기 역세척을 0.874m/분으로 2분간 실시하고, 공기 역세 시작 2분 후 낮은 유속(0.35m/분)의 물을 같이 공급하면서 공기 병용 역세척을 수행했다.

 

 


   
▲ [그림 17] 물 공기 병용 역세척 시 여층 팽창율 및 역세척 중단 후 여층상태

이러한 공기 병용 역세척 시간은 통상적으로 트러프 하단지점까지 수위가 상승하는 시간만큼 수행됐고, 트러프 하단 지점에 수위가 도달했을 경우 공기 공급은 중단됐다. 이후 잔여공기의배출을 위한 시간 이후(대략 1분), 역세척 수의 공급속도를 0.7m/분으로 단계적으로 증가시켜 린스과정을 7분간 수행했다. 역세척 수의 공급중단은 팽창된 여재를 균일하게 여상에 가라앉히도록 충분히 천천히 닫으며 종료했다. 전체적인 역세척 과정 개요를 [그림 18]에 나타냈다.  

 

   
▲ [그림 18] 역세척 시간 및 과정 개요도

[그림 18]과 같은 일련의 과정으로 역세척 공정을 수행한 후 여층 상태를 [그림 19]에 나타냈다.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역세척 종료 후 여층은 매우 평탄한 상황이었으며, 굴곡이나 쏠림 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SIB Block을 적용한 실증여과지의 역세척 과정을 통해 여과사 세척에 필요한 충분한 여과사 팽창과 균등분배는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하수도교육센터 실증플랜트 설비를 이용한 평가

   
▲ [그림 19] 역세척 종료 후 여층 상태

수자원연구원 상하수도연구·교육센터 내 실증플랜트의 여과지에 설치되어 있는 SIB(주) 하부집수장치의 역세척 효율을 평가했다. 실증플랜트는 대청댐 직하류 현도취수장의 원수를 받아 운영중에 있으며, 대상여과지는 모래 단일 여과지와 안트라싸이트와 모래의 이중여재로 구성된 여과지 중 SIB(주) 하부집수장치가 설치된 여과지를 이용하여 평가를 수행했다.  단일여과지는 1.3m의 여층깊이로서 설계 유량 1천㎥/일에서 108m/일의 선속도로 설계됐다.

   
▲ [그림 19] 역세척 종료 후 여층 상태

그러나 시험당시 운전유량은 250㎥/일로서 역세척 주기는 주 1회로 운전한다. 또한, 안트라싸이트와 모래로 구성되어 있는 이중여재 여과지의 여과속도는 294m/일이며, 여층구성은 175cm의 안트라사이트층 하부에 25cm의 모래층으로 구성됐다. 각 여과지에서 역세척 전·후의 여재를 일정깊이 간격별로 각각 채취하여 SRA 시험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여 결과를 여층 깊이에 대한 슬러지량(탁도)의 관계로 그래프를 그려 [그림 20]에 나타냈다. 그림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역세전 여층의 탁질억류량이 그리 많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그림 20] 상하수도교육센터 실증여과지에서 역세전·후 여층 내 탁질억류량 (가) 단일여재 여과지

이것은 평가기간 동안 원수 수질이 2∼4NTU로서 매우 수질이 좋았으며, 설계유량 대비 25% 가동율로 운전 중에 있어 매우 낮은 침전 처리수(평균 0.2NTU 범위)를 유입수로 처리함에 의해 1주일 주기로 역세척을 실시하지만 실질적으로 여과 처리된 탁질량은 그리 많지 않았다.

   
▲ (나) 이중여재 여과지

그리고 심층여과 형태로 설계되었지만 운전되고 있는 상태는 유입 탁질량이 적어 표면여과 형태의 탁질 억류 현상을 보인다. 사용된 역세척 방법은 표면세척(2분)→ 공기세척(5분)→ 공기+물 병용세척(1분)→ 물 단독 세척(7분)으로서, 통상적으로 공기세척이 도입되어 있는 정수장에서 채택되지 않은 표면세척이 도입되어 있는 것은 본 플랜트가 연구목적으로 다양한 역세척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며, 실제 평가에서도 평상시 운영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역세척 후 여층의 물을 완전히 배수한 후 역세전과 동일하게 여재를 깊이별로 채취하여 SRA 분석을 수행한 결과 역세척 후 50NTU 이하의 탁질 억류량을 전체 층에서 나타냈다. 역세 전에 탁질억류량이 많지 않았지만 역세척 공정에 의해 양호하게 탁질이 제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S.Kawamura에 의하면 SRA 시험에 의하여 여과지를 세척한 후 측정했을 때 30∼60NTU의 탁도를 나타내면 깨끗하고 숙성된 여층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약간 더러운 여층은 60∼120NTU 사이의 탁도를 나타냈으며, 이 이상의 탁도를 보이는 여층은 역세척 장치와 여과지의 세척방법을 재검토하여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SIB(주) 하부집수장치는 역세척수의 원활한 공급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중여재 여과지의 경우에도 [그림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역세 전·후의 탁질 억류량이 SIB(주) 하부집수장치가 설치된 여과지의 경우에는 역세후 탁질억류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2m의 여재 층고를 가지고 있는 여과지에서 표층에서 120cm 부근까지의 여층 세척에 있어 현재 역세척 방법이 상기의 모래 단일여과지 보다 불충분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역세척을 최적화하기 위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타 회사 제품의 3개 여과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 하부집수장치 별 성능에서 차이점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수장 실공정 적용사례

공사에서는 상기와 같은 평가과정을 통해 SIB(주)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시공과정에서의 문제가 없으면 여과수의 집수와 역세척 수의 균등분배라는 하부집수장치의 조건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하여 공사 내 구미정수장 신규 여과지 건설공사에 평가된 제품을 적용했다.
구미정수장 신규 여과지는 규격 B9.6m×L7.5m, 1지당 여과단면적은 75.36㎡의 안트라싸이트(60cm)와 모래(30cm)의 이중여재로 구성된 여과지이다. 여과속도는 178m/일이며, 역세척 방식은 공기 물 병용 역세척으로 설계되어 공사가 진행중이다. 신규 여과지 하부집수장치로써 SIB(주) 유공블럭을 적용되었으며, [그림 21]에 공사모습을 나타냈다. 

   
▲ [그림 21] 구미정수장 신규여과지 공사 모습

   
▲ [그림 21] 구미정수장 신규여과지 공사 모습
또한, [그림 22]에 설치된 하부집수장치의 평가를 위하여 공기 블로워를 이용 공기주입을 수행하면서 균등분배 되는 모습을 나타냈다. 사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SIB(주) 유공블럭은 역세척용 공기가 원활히 균등하게 분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림 22] 구미정수장 신규 여과지 균등분배 관찰 사진

   
▲ [그림 22] 구미정수장 신규 여과지 균등분배 관찰 사진

결 론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의 국산 모델인 SIB Block의 금형을 제작하고 사출품을 생산하여 모형실험과 실증 실험을 통해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의 균등 분배를 확인했다. 실증실험에서 여과사 투입 전에 물과 공기를 공급하면서 누기 누수 시험과 동시에 기포의 분포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균등분배를 확인했다. 여과사 투입 후에는 최소유동화속도를 기준으로 역세척수와 역세척 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면서 여과사의 세척에 필요한 충분한 여과사 팽창 후에도 여층이 평탄하고 물과 공기가 균등하게 분배되는 것을 확인했다.
실증연구를 통한 평가결과 시공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SIB Block은 하부집수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인 여과수의 집수 및 역세척수의 균등한 분배기능을 원활히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에서는 성능평가 결과를 토대로 구미정수장 신규여과지에 도입이 진행 중에 있으며, 수도권의 고도처리 공정도입 사업의 일환인 성남정수장 고도처리 공정도입 사업에서 활성탄 공정에 개발된 하부집수장치를 도입하여 적용할 계획이다. 향후 지속적으로 국내에서 설계 시공되는 여과지에 SIB Block을 도입함으로써 균등한 여과와 효율적인 역세척으로 안정적인 여과지 운영이 기대되어 지며, 유공블럭형 하부집수장치 관련 기술력 증대와 경제성 향상이 기대된다.


문의= 수자원연구원: 042-870-7520   (주)에스아이비: 042-631-0773

 

[참고문헌]
 1. Optimum Backwashing of Dual Media Filters and GAC Filter-Adsorbers with Air Scour(1991, AWWA, Amirtharajah)
 2. Process Conditions for Backwashing of Filters with Simultaneous Air and Water(1995, Jour. of Wat. Res., Stevensen)
 3. 상수도 여과 시스템의 구조개선 및 기능 향상에 관한 심포지엄(1997, 서울특별시 수도기술연구소)
 4. 급속여과 공정개선 연구(1996, 한국수자원공사)
 5. 섬진강용수 여과공정 개선 방안연구(1994, 한국수자원공사)
 6. 상수도 중력식 급속여과지의 블록 스트레이너 기능 및 성능시험(200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