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철민 편집국장
기상청은 8월 1일 밤부터 서울과 경기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최고 150mm의 비가 내리겠다고 예보했다. 그러나 비는 2일 저녁이 되서야 내리기 시작했고, 그 양도 30mm를 넘지 못했다.

반면,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에는 1일과 2일 이틀간 많은 비가 내렸다. 심지어 강원도 양구 해안면에는 200mm가 넘는 비가 내린 것을 비롯해 강원도 고성과 철원, 경기도 연천 등에서도 100mm가 넘는 강수량을 기록했다.

기상청은 또 지난달 25일 오전 11시 예보에서 주말인 26일까지 경기 북부와 강원 영서 지방에 10∼40㎜의 비가 올 것으로 예고했다. 그러나 동두천은 25일 33㎜, 26일 78.5㎜ 등 이틀간 100㎜가 넘는 비가 내렸고, 춘천에는 26일 66.5㎜의 많은 비가 내렸다.

지난 6월 26일부터 이 달 2일까지 6주 동안 주말마다 이런 기상 오보가 반복되고 있다. 재산상 손실은 말할 것도 없고, 기상청 간판을 ‘기상중계청’이나‘기상오보청’으로 바꿔 달라는 등 국민의 분노도 심각하다.

그런데도 기상청은 “예보는 확률일 뿐”이라며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급기야 환경부장관까지 기상청 행태를 질타하고 나서는 지경에 이르렀다.
일기예보는 현재의 대기상태를 파악하는 기상관측에서 출발한다. 기상청은 94개 지점의 유인 관측소와 463개 지점의 무인 자동기상관측 장비를 갖고 있다.

또 5개의 ‘해양부이’를 비롯해 8개 지점의 등표탑재 기상장비, 1척의 기상관측선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EU·일본이 띄운 세계 5개 기상위성이 관측한 자료도 받고 있다. 기상청은 이 같은 결과물을 토대로 오전·오후에 한 차례씩 내부 브리핑 등을 거쳐 지방예보관들과 논의한 후 예보내용을 결정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상청의 잇단 기상오보 원인을 초기자료의 부정확, 수치예보 모델과 개발인력의 한계, 대기과학이론의 한계 등을 지적한다.

현재의 대기상태를 모두 파악하려면 관측장비가 우리나라 전역에 설치돼야 하기에 초기자료 부정확은 피할 수 없다는 논리다. 우리나라는 고위도와 저위도의 중간, 중위도 대륙의 동쪽 끝 편서풍 지대 등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인한 변화무쌍한 날씨를 보이는 측면도 간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기상청이 채택하고 있는 수치예보모델을 하루빨리 최적화해 예보 적중률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수치예보모델은 관측데이터를 갖고 앞으로의 대기 움직임을 시간대별로 예측해내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우리가 1991년 일본서 들여와 쓰고 있는 모델은 세계기상기구 2005년 평가에서 11개국 중 10위를 했을 정도로 예보능력이 형편없다.

게다가 2004년에 무려 500억 원을 들여 새로 도입한 수퍼컴퓨터도 ‘악 기상 특보’정확도가 2001∼2003년 79.4%이었던 것이 2004∼2006년 72.1%로 되레 떨어졌다. 그 책임의 상당부분이 수치예보모델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기상인력의 전문성 부족도 오보를 더욱 양산한다. 기상예보 적중률을 높이려면 더 유능한 예보관들이, 더 많은 관측장비에서, 더 정확한 자료를 얻어, 더 정교한 수치예보모델로 분석해야 한다.

기상청은 1990년대 초부터 일본에서 수치예보 모델을 도입해 운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수치예보 모델 개발인력은 25명에 불과하다. 미국 370명, 영국 250명, 일본 71명에 비해 절대 부족한 실정이다. 예보관들의 전문성이 부족하다면 외국 전문가를 초빙해 교육이라도 시켜야 하며, 전문예보관제를 도입하는 것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날씨는 단순한 정보 차원을 넘어 국민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요소다. 산업뿐 아니라 재난 등 국민의 안위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기예보의 정확도는 곧바로 삶의 질과 직결된다.

정부는 기상예보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전문인력을 하루속히 보완하여 기상예보 과학화·선진화를 앞당겨야 한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