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에 의한 거버넌스 정책 개발의 첫 사례

환경교육 발전을 위한 10년 청사진이 5대 분야 23개 과제가 마련됐다.

환경부는 25일 학교 및 사회 각 분야에서 실시되고 있는 환경교육에 대한 지속적·체계적 지원을 위해 ‘환경교육 발전계획’을 수립, 2006∼2015년 10년 동안 환경교육 정책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했다.

이는 환경교육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핵심 전략이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인식과  환경교육을 강화해가고 있는 국제적 추세, 국내적 요구에 적극 부응하기 위함으로 해석된다.

최근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환경교육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확대해가고 있으며, UN도 2005∼2014년을 UN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으로 선포하고 국가별 이행계획 수립을 권고했다.

환경교육 발전계획은 ‘학습과 실천으로 만드는 환경적으로 건강한 시민사회’를 비전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5대 분야 23개 과제를 담고 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 기반 구축
환경교육 활성화 및 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 마련, 관련부처·지자체·산업계·민간단체 역량 결집 및 협력체계 확대를 위한 네트워크 강화, 환경교육 센터 건립, 환경교육 포털 사이트 구축 등을 추진한다.

△환경교육 지도자 육성 및 지원
초·중·고 교원, 민간단체 지도자 등에 대한 연수인원을 기존 연간 100명에서 연간 3천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한 교육대학, 사범대학 커리큘럼에 환경교육 강의 개설 등 교사 양성대학의 환경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환경 전공 교사를 둔 초중고교의 비율도 기존 11%에서 50%까지 늘린다.

△환경교육 컨텐츠 개발 및 보급
동영상, 영화, 도서, 실습 자료 등 다양한 형식의 자료와 교육 대상별, 주제별로 전문화된 자료 개발을 연간 7종에서 14종으로 늘린다.

△학교 환경교육 내실화
이르면 내년부터 제주도내 환경교육과목 이수가 의무화되고, 내년 2월 교육과정 개편 및 교과서 개발에 대비해 국어, 사회, 과학 등 10개 공통 교과에 환경교육 내용을 확대 반영할 계획이다.
현재 32개교 환경보전 시범학교도 50개교로 확대하고, 푸름이 이동 환경교실을 시·도별로 1대씩 확대 배치해 나간다.
대학에서의 환경교육도 ‘환경경영학 특성화 대학’ 추진, 환경관련 교양 강좌 확대, 사전 예방중심의 환경정책과 연계된 강의 및 연구 유도 등 강화할 방침이다.

△사회 환경교육 활성화
직능단체, 자영업자, 주부 등 사회 각 분야에 대한 교육과 지방자치단체를 통한 환경교육 강화, 민간단체 환경교육 활동에 대한 지원 등을 할 계획이다.

다양한 분야의 환경교육 강사를 확보하며, 군부대, 민방위, 예비군, 농·어민, 요식업소·세차장 등 자영업자에 대한 환경교육 실시, 민간단체의 환경교육 활동 지원과 공무원, 기업 임직원 등에 대한 환경교육을 추진한다.
또한 학교 환경교사와 민간단체 환경교육 전문갇활동가들 간의 공동연수 등 교류 프로그램 활성화 및 교차 수업 등도 추진한다.

환경부는 이번 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2006년 현재 29억 원의 예산을 2009년 이후부터는 연간 100억 원 이상으로 늘려갈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은 지난 7월 민·관환경정책협의회 발족이래 환경교육분과위원회와 5차례 협의와 워크샵 등을 거쳐 수립한 것으로, 환경정책 형성과정에 거버넌스 모델을 적용한 첫 사례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