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재근 박사

류재근 박사 칼럼
 

“정수처리 공정의 노후화 시설을 개선해야 한다”

 

▲ 류 재 근 박사
·본지 회장
·국립한국교통대학교 명예석좌교수
·㈔한국환경학술단체연합회장
·㈔한국환경분석학회 명예회장
·(전)한국물환경학회장(현 고문)
·(전)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6,7대)
·(전)국립환경과학원장
·(전)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
현재 우리나라의 상수도 보급률은 98.9%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또한 정수처리 기술도 1990년대부터 오존, 활성탄, 멤브레인 등 다양하고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선진국 수준에 근접할 정도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수처리 공정의 운영 고도화 및 핵심부품 국산화 연구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렇게 연구·개발된 신기술의 다양한 시설 적용은 기술에 대한 검증과 더불어 기술의 발전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문제는 이렇게 검증된 다양한 정수처리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신기술이나 특허에 대한 수의계약이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현장에 설치 운용되는 사례가 전무하다.

환경부의 ‘2017년 상수도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 수도관 총 길이 20만9천34㎞ 중 설치된 지 21년 이상 지난 노후 상수관은 6만7천676㎞로 32.4%를 차지한다. 또한 내구연한 30년 이상의 노후 상수관 비율이 무려 14%나 된다. 정수처리 시설의 노후화는 먹는물의 수질을 낮추고, 노후관로는 정수처리된 물이 가정의 물탱크로 가는 동안 다시 오염시키는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최근 수도권을 비롯한 여러 지자체에서 노후시설과 노후관로로 인해 수돗물의 녹물(흑수, 적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 녹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정책·제도를 개편해 전문화된 기술자를 양성해야 한다.

현재 정수처리 분야에서 큰 문제 중 하나는 전문화된 기술인력의 부족이다. 수년 전부터 시작된 정수처리 분야 숙련 기술자들의 퇴직, 기능직과 사무직의 평등화로 인한 기능인력 부족, 환경업무가 어렵다는 인식 등으로 점점 전문화된 인력이 줄어들고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의 경우 정책을 통해 배관 및 정수장 문제를 분석·평가하고, 매년 개선을 위한 예산 증액과 인원 확대 방안에 힘쓰고 있다. 정부는 노후화된 정수처리시설 및 관로 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점검을 시행해 신설 및 보수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차근차근 세워야 한다.

또한 정수처리 전문가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기업이나 학계에서 비용과 노력을 들여 만든 다양한 정수처리 관련 신기술 및 특허가 현장에 유연하게 적용되어 기술이 적재적소에 사용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책을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

 [『워터저널』 2020년 1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