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재근 박사

 류재근 박사 칼럼


“여름 장마 전 산림 벌목지역 산사태 예방대책 강구해야”


▲ 류 재 근 박사
·본지 회장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 연구위원
·㈔한국환경학술단체연합회장
·(전)국립한국교통대학교 석좌교수
·㈔한국환경분석학회 명예회장
·(전)한국물환경학회장(현 고문)
·(전)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6,7대)
·(전)국립환경과학원장
·(전)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
산림청이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탄소흡수력이 떨어지는 오래된 나무를 베고 어린 나무를 심기 위해 북한강수계 홍천지역과 남한강수계 제천지역의 나무를 강원도 고랭지 밭 면적만큼 마구잡이로 베어, 잘린 나무토막이 산골의 개울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는 기사를 읽으면서 기후변화 대응에만 집중한 사업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했다.

산림청은 올해 초 ‘2050 산림부문 탄소중립 계획’을 발표했다. 30년간 30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탄소흡수량을 늘리겠다는 내용이다. 나무가 50년생이 넘어가면 생장률이 감소해 탄소흡수력이 떨어지는데, 우리나라 산림의 70%가 30년생 이상 된 나무로 이뤄져 있다. 그래서 오래된 나무를 베어 내고 그 자리에 어린 나무를 심어 탄소흡수력을 강화하고 벌목한 나무는 목재와 펠릿으로 사용해 탄소중립을 이루겠다는 것이 산림청의 입장이다.

하지만 나무를 태우면 석탄보다 더 많은 탄소가 발생한다. 그리고 벌목된 나무는 관리가 미흡해 개울에 떠다니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게다가 벌목을 한다고 굴착기로 흙을 파내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비가 내리게 되면 잘린 나무토막이 하천으로 내려와 흙탕물이 범람하면서 생태계까지 교란시킨다. 벌목 후 집중 폭우와 같은 상황에 하류 하천이 입을 영향을 예측한 후 사업을 시행하는 등 사후 처리에 신경 써야 하는데 산림청은 그러지 못했다.

옛말에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말이 있다. 10년 전 강원도 고랭지 밭에 내린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발생해 하류인 내린천 일대 밭과 산림이 크게 훼손됐다. 산이 높고 경사지가 많은 강원도 특성상 고랭지 밭으로 작물 수확량을 늘리는 데에는 도움이 됐지만 이곳에서 쏟아지는 흙탕물 때문에 소양호, 의암호, 청평호 등 하류 하천이 오염되고 생태계 불안은 물론 팔당호 상수원까지 위협받는 상황이 초래됐다. 이에 소양호 관리당국은 막대한 돈을 들여 예방시설을 구축하는 등 내린천 유역 보호를 위한 대책을 강구하기에 나섰다.

이 같은 사례를 참고해 정부는 대홍수 예방대책을 세워 혹시 모를 여름철 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대홍수가 발생하면 크고 작은 목재와 나뭇잎, 그리고 산사태로 뿌리 뽑힌 나무와 돌이 인근 가까운 마을에까지 떠내려와 마을의 길과 교량 등을 파괴하면서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경우가 많다.

21세기에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은 1천240㎜에서 1천600〜1천700㎜로 증가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우리나라는 외국과 달리 산이 대부분 경사져 있어 하천의 하상계수가 높아 홍수가 발생하면 많은 피해를 입는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여름철 장마가 오기 전 산림 벌목지역의 나무토막이나 나뭇가지들을 수거해 예상치 못한 비에 하천으로 떠내려가 더 큰 사고를 유발하지 않도록 국가 차원의 조속한 재해 예방대책을 세워 홍수 피해가 없도록 철저히 관리하기를 바란다. 

[『워터저널』 2021년 6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