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Opinion

“‘코로나19’ 대유행에서 벗어나려면  
물과 위생에 우선순위 두어야”


수도사업자들, 물에 대한 공평한 접근 보장하는 방식으로 수도서비스 개선해야
공중보건 전략에 물·위생 관련 내용 포함하고 위기 대응에 디지털 혁신 활용 필요

 

‘코로나19’ 대유행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물과 위생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As we emerge from the pandemic, we must prioritize water and sanitation

아시아개발은행(ADB)은 최근 발표한 연구보고서 ‘‘코로나19’와 아시아·태평양의 물: 가이던스 노트(COVID-19 and Water in Asia and the Pacific: Guidance Note)’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이 아시아·태평양 지역 물 부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또 ‘코로나19’로 둔화된 성장세를 회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설명하며,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의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가 미래 위기를 잘 관리하고 물에 대한 공평한 접근 보장과 수도서비스 제공을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 주 저자인 제프 윌슨(Geoff Wilson) ADB 지속가능개발·기후변화국 수석 수자원 전문가는 “‘코로나19’ 대유행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물과 위생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물 및 위생(WASH) 조항을 공중 보건 전략에 포함하고 디지털 혁신을 활용해 수도사업자의 위기 대비·대응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8월 9일 그가 아시아개발은행 블로그에 기고한 내용을 소개한다.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의 진전을 이루고,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려면, 향후의 위기를 보다 잘 관리하고 물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수도 서비스 제공을 개선해야 한다.

지난 7월 아시아개발은행(ADB)이 발간한 연구보고서 ‘COVID-19 and Water in Asia and the Pacific: Guidance Note(‘코로나19’와 아시아·태평양의 물: 가이던스 노트)’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Pandemic)은 아시아·태평양 물산업계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고, 특히, 물공급, 위생 및 하·폐수 분야 관련자들이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COVID-19)’ 대유행이 야기한 혼란은 물수요와 하·폐수 방류 등 수도 부문의 주요 동인이 바뀌는 계기로 작용해 상업·산업용수 수요와 하·폐수 발생의 급감을 초래했다. 이는 결국 심각한 타격을 입은 수도사업자에 신속한 운영 조정의 필요성을 촉발시켰다.

If we hope to regain progress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and improve people’s lives-we must improve water service delivery in ways that help countries better manage future crises and improve equitable access to water.

The pandemic has had a severe impact on the water industry in Asia and the Pacific but those involved in water supply, sanitation, and wastewater have been particularly hard hit, according to our research(‘COVID-19 and Water in Asia and the Pacific: Guidance Note).

The disruption that the pandemic caused altered key drivers of the water sector-water demand and wastewater discharge-resulting in an abrupt decline in commercial and industrial water demand and wastewater generation. The decline, in turn, has triggered the need for rapid operational adjustments for the hard-hit service providers.

수익 감소는 수도사업자에게 가장 큰 재정적 손실이다. 아시아개발은행이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 수도사업자의 약 3분의 2가 상업 및 산업 수익 감소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소규모 유틸리티의 경우, 상업·산업용수 소비 급감으로 급격한 재정 보유고 감소에 직면해 있다. 이를 상쇄할 가계 소비 증가분 또한 충분치 않았기 때문에 수도 요금에 교차 보조금을 사용하는 유틸리티가 특히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많은 국가가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수도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에 나서고 있으며, 몇몇 국가는 수도사업자에게 직접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의 구제책이 없는 경우 전염병으로 인한 재정적 부담은 고스란히 수도사업자의 몫이다.

대유행 회복 단계에서 상업 활동의 점진적 개시와 이동성 증가는 수도사업자의 비상 프로토콜을 한시적으로 완화시켰다. 그러나 언제든 대유행 단계(비상 모드)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어, 수도사업자들은 경계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

Revenue decline is the single biggest financial impact to water service providers. In our survey, two-thirds of water supply service providers saw a decrease in commercial and industrial revenues.


Many utilities, particularly the smaller ones, have faced a steep decline in financial reserves mainly due to the sharp decrease in commercial and industrial water consumption which wasn’t fully offset by the increase in household consumption. Utilities that employ cross-subsidies on water tariffs are expected to be especially hit.

Many governments have intervened to ensure the continuity of critical water services during the pandemic, in some cases providing direct financial support to water service providers. In the absence of government relief, the financial burden of the pandemic is currently borne by water service providers.

In the recovery phase, the gradual opening of commercial activity and increasing mobility has eased the emergency protocols of service providers. However, the possibility of reversion back into emergency mode puts service providers on high alert.

상업 활동이 회복되더라도 대유행 이전 수준으로는 회복되지 않을 것이며, 수도사업자 역시 최대 가동량에 못 미치는 채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자본 및 유지보수 비용 절감, 운영 및 유지보수 계획 변경은 정부 이전 또는 수도요금 인상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수도 부문의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종사자의 건강을 보호하는 동시에 지속적인 위생서비스 제공을 통한 공공의 안전 보장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한다. 수도사업자의 재정적 회복을 지원하려면 고객에게 지속적인 재정적 구제를 확대해야 할 필요성과 중요한 자본 작업의 재개를 보장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찾아야 한다.

▲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최근 발표한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진전을 이루고 사람들의 생활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미래 위기를 보다 잘 관리하고 물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수도서비스 제공을 개선해야 한다. [사진출처 = 아시아개발은행]

Even as commercial activity picks up, the recovery phase does not represent pre-pandemic economic activities and service providers are likely to operate at less than full capacity. Reduced capital and maintenance spending, as well as significant changes to operating and maintenance planning, may be achieved either through government transfers or increased customer tariffs.

To support the recovery of the water sector, the immediate priority for recovery should include ensuring public safety through the continuous provision of essential services while protecting the health of staff. Supporting the financial recovery of water service providers will require finding a balance between the need to extend continuing financial relief to customers and ensuring the resumption of critical capital works.

또한 ‘코로나19’ 대유행의 교훈은 미래 위기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계획 및 운영에도 통합돼야 하며, 취약 부문에 대한 사회적 결과를 보장하고 복지를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유행 이후, 유연한 근무 방식, 디지털 기술 사용 확대, 유연한 가격 책정 또는 지불 계획 그리고 개선되고 다변화·현지화된 공급망 등을 포함하는 ‘뉴 노멀(new normal)’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새로운 현실에서 우리는 대유행으로 인한 교훈과 경험이 우리가 살고 일하고 노는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 보게 될 것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특히 깨끗한 물 및 위생 보장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SDG6’은 매우 어려운 과제다. 특히 정부 예산이 여러 우선순위에 조금씩 고르게 편성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더욱 그렇다. 지속적인 경제 성장, 빈곤 퇴치, 불평등 해소, 세 가지 목표의 동시 달성을 의미하는 이른바 ‘SDG 해트트릭(hat trick)’은 갈수록 실현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있다.

Lessons of the COVID-19 pandemic should also be integrated into planning and operations to increase resilience to future crises, an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otect the well-being and ensure social outcomes for vulnerable sectors.

It is expected that after the pandemic, there will be a “new normal” which may include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greater use of digital technologies, flexible pricing or payment schemes, and improved/diversified/localized supply chains. In this new reality, we will see how the lessons and experiences from the pandemic has changed the way we live, work, and play.

Getting Asia and the Pacific back on track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particularly SDG-6, which calls for clean water and sanitation for all, will be a tall order. This is especially true in developing economies where government budgets are spread thinly across many priorities. The “SDG hat-trick” of sustained economic growth, eliminating poverty, and significantly reducing inequality is looking increasingly unlikely.

미래의 건강 위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 수도 부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해결책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SDG6’에 따른 ‘WASH(물 및 위생, Water, Sanitation and Hygiene)’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가속화하기 위해 WASH 관련 조항을 공중 보건 전략에 통합해야 하며, 여기에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분산화, 자연 기반 솔루션 사용 등 물 및 위생 서비스를 위한 혁신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비용효율적인 가격과 수도사업자와 고객 모두에게 가치 있는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혁신을 활용해 수도사업자의 위기 대비·대응 관리를 개선한다.

셋째, 자동화·기계화 및 전자상거래의 혁신을 도모하고 생산성과 시장 접근성을 개선해 관개 부문 복원력을 높인다.

넷째, 하·폐수 기반 역학(WBE)을 활용한다.

다섯째, 물과 위생시설에 대한 투자를 포함한 녹색 회복 전략으로 사람과 지구 생태계를 보호하는 동시에 경제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다.

To prevent and mitigate future health crises more effectively, the water sector must consider the following solutions:

- Integrate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WASH) into the public health strategy by accelerating universal WASH access in line with SDG-6 will require large investments. We need to explore innovative methods for water and sanitation service such as decentralization and employing nature-based solutions.
- Improve crisis preparedness and response management of water service providers by using digital innovations that are increasingly available at cost-effective pricing and adopt technologies that add value to service providers and their customers.
- Create resilience in irrigation 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market access, as well as adopting innovations in automation, mechanization, and e-commerce.
- Employ wastewater-based epidemiology.
- Green recovery strategies, including investments in water and sanitation, can deliver accelerated economic growth while protecting people and the planet.

설문조사 응답자들은 또한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와 장기 회복을 뒷받침할 최우선 과제로 연기된 자본 작업(deferred capital works)의 재개를 꼽았다. 민간 부문 투자는 공공·민간 파트너십(PPP)을 통한 수도 분야 회복 자금 조달의 또 다른 중요한 구성요소이지만, PPP에 대한 사전 경험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국가에서는 이를 수용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재정 지원은 세부 부문(subsector) 수준의 역량 강화와 병행되어야 한다. 위기를 대비하기 위한 강력한 계획에는 수도사업자의 역량 구축을 통해 전염병 시나리오가 포함되어야 한다.

물은 삶과 생계의 모든 면에서 중요하다. 대유행에서 벗어나 SDG의 진전을 가속화하고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려면 물과 위생시설 등을 우선순위에 두어야 한다. ‘코로나19’ 대유행은 국가가 미래의 위기를 더 잘 관리하고 물에 대한 공평한 접근을 개선하도록 함으로써 수도 서비스 제공을 개선할 기회를 준 것이다.

Survey respondents also ranked the resumption of deferred capital works as the top priority that will support their post-pandemic and long-term recovery. Private sector investment is another important component of financing water sector recovery and rejuvenation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s, however, countries with little or no prior experience with PPPs may take some time to embrace it.

Financing support must be coupled with capacity building at the subsector level. Robust planning for crisis preparedness must include pandemic scenarios, through capacity building of service providers. Water is critical to all aspects of life and livelihoods. As we emerge from the pandemic, water and sanitation must be prioritized if we hope to regain progress for the SDGs - and improve people’s lives. The pandemic has given us an opportunity to improve service delivery in ways that help countries better manage future crises and improve equitable access to water.

 
■ 필자 소개
제프 윌슨(Geoff Wilson)
ADB 수석 수자원 전문가

제프 윌슨은 30년 이상 컨설팅 경험을 가진 토목 엔지니어로, 유럽과 중동, 아시아지역에서 수력공학, 수문학, 수자원, 홍수위험, 물공급, 해안 및 해양 프로젝트를 포함한 광범위한 물 관련 분야를 다뤄왔다. 현재 그는 아시아개발은행(ADB) 지속가능개발·기후변화국에서 전문가 자문을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물 관련 프로젝트 준비를 지원하고 있다.
 

[출처 = 아시아개발은행(https://blogs.adb.org/blog/we-emerge-pandemic-we-must-prioritize-water-and-sanitation) / 2021년 8월 9일]

[『워터저널』 2021년 10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