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 3.5% 감소
2018년 배출량 정점 이후,  감소 추세
전기‧열(1천961만톤), 불소가스(381만톤) 감소 등 영향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서흥원)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위원장 환경부 차관)’ 심의를 통해 2019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보다 3.5% 감소한 7억137만톤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배출량 감소에 가장 크게 기여한 부문은 발전·열생산으로 1천961만톤(7.3%)이 감소했으며, 오존층파괴물질(ODS, Ozone Depletion Substances) 대체물질 사용부문(250만톤, 28.3%), 가정(219만톤, 6.5%)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도로수송은 전년보다 275만톤 증가(2.9%)하였으며, 비금속(113만톤, 10.2%) 등에서도 배출량이 증가하였다.

에너지 분야의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7.2%에 해당하는 6억1천150만톤으로, 전년보다 2천107만톤(3.3%) 감소했다.

발전‧열생산 부문은 전력수요 감소에 따른 발전량 감소(1.3%)와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석탄화력 발전량 감소(4.8%) 등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2018년보다 1천961만톤(7.3%) 줄었다.

제조업·건설업의 배출량은 2018년보다 44만톤 감소(0.2%)했다. 항목별로는 비금속 113만톤(10.2%), 화학 41만톤(0.9%)이 증가한 반면, 철강 6만톤(0.1%), 비철금속 13만톤(4.4%), 기타 179만톤(5.7%)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송 부문은 국제 유가 및 국내 유류 판매가의 하락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보다 289만톤 증가(2.9%)했다.

가정·상업‧공공 등에서는 난방용 연료 소비가 줄어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보다 311만톤(5.6%) 감소했다.

산업공정 분야 2019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7.4%에 해당하는 5천199만톤으로, 전년보다 6.8% 감소했다.

광물산업 부문에서 10만톤(0.3%)이 증가한 반면, 화학산업과 금속산업 부문에서 각각 2만톤(2.6%)과 6만톤(23.8%)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불소계 온실가스는 오존층파괴물질 대체물질 사용과 반도체‧액정 생산 항목 등에서 소비감소로 2018년보다 381만톤(19.5%) 줄었다.

농업 분야의 2019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3.0%에 해당하는 2천96만톤으로, 전년보다 17만톤(0.8%) 감소했다.

세부적으로는 장내발효 12만톤(2.6%), 농경지토양 9만톤(1.6%), 작물잔사소각 0.1만톤(6.6%)이 증가한 반면, 벼재배에서 34만톤(5.4%), 가축분뇨에서 4만톤(0.8%) 감소했다.

폐기물 분야의 2019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2.4%에 해당하는 1천691만톤으로, 전년보다 63만톤(3.6%) 감소했다.

▲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19년 기준). [자료제공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세부적으로는 하폐수처리 8만톤(4.3%), 기타 6만톤(7.8%)이 증가한 반면, 소각에서 66만톤(9.3%), 매립 11만톤(1.3%)이 감소했다.

국제기준(IPCC 지침)에 따른 국가 배출량을 경제산업 부문별로 재분류할 경우 산업부문 55.7%, 건물부문 21.0%, 수송부문 14.6%, 공공기타 2.7%, 폐기물 2.4%, 농축산 3.0%, 탈루로 인한 배출이 0.6%를 차지했다.

부문별 전년 대비 증감량을 살펴보면, 수송 부문은 277만톤(2.8%) 증가한 반면, 산업 1천463만톤(3.6%), 건물 1천105만톤(7.0%), 공공기타 158만톤(7.6%), 폐기물 63만톤(3.6%), 농축산 17만톤(0.8%), 탈루 및 기타 38만톤(7.8%)이 줄었다.

국내 6대 온실가스별 비중은 이산화탄소(CO2)가 91.8%로 가장 높으며, 메탄(CH4) 3.9%, 아산화질소(N2O) 2%, 수소불화탄소(HFCs) 1%, 육불화황(SF6) 0.8%, 과불화탄소(PFCs) 0.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CO2)는 93.6%가 연료연소에서 발생하며, 2018년 대비 3.2% 감소했다.

메탄(CH4)은 폐기물매립(28.1%), 벼재배(21.5%), 장내발효(16.7%), 탈루 (15.3%)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전년보다 1.8% 줄었다.

아산화질소(N2O)는 농경지토양(38.8%), 가축분뇨처리(24.4%), 연료연소(22.5%)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전년 대비 0.6% 감소했다.

수소불화탄소(HFCs)는 냉장고 등 기기의 냉매제 대체 사용(92.3%) 과정에서, 과불화탄소(PFCs)는 반도체․액정을 생산(100%)하는 과정에서, 육불화황(SF6)은 반도체․액정(45.0%) 및 중전기기(54.6%) 제작 과정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전년보다 19.5% 감소했다.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 총생산액(GDP) 및 인구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국내 총생산액(GDP) 10억원 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379톤으로 2018년 401톤에 비해 5.6% 개선됐다.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13.6톤으로 2018년 14.1톤에 비해 3.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7개 시도별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충청남도가 1억5천475만톤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전라남도(9천100만톤), 경기도(8천511만톤), 경상남도(5천918만톤), 경상북도(5천805만톤) 등의 순서로 배출량이 많았다.

그러나 실제 전력 소비량 기준으로 산출하는 간접배출량은 경기도가 6천310만톤으로 가장 컸으며, 충청남도(2천587만톤), 서울(2천136만톤), 경상북도(2천90만톤), 경상남도(1천607만톤)의 순서로 집계됐다.

한편,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이번 2019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확정하는 공식 통계로서 지난 6월 공개한 2019년 잠정치(6억9천951만톤)보다 0.3% 높게 산정되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매년 배출량 산정과정에서 기존 통계 대비 개선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과거 배출량도 함께 조정(업데이트)한다고 설명했다.

2019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상세자료는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정보마당(www.gi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