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니뇨로 인한 해수면 온도 상승과 온대저기압으로 홍수 발생

저우톈쥔 교수가 연구 주도… 『기후 저널(Journal of Climate)』에 게재

중국과학원 대기물리학연구소(IAP)의 저우톈쥔(ZHOU Tianjun) 교수 연구팀은 1931년 발생한 양쯔강 홍수의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1931년 중국 동부에서 발생한 양쯔강 홍수는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자연재해 중 하나로 기록됐지만, 1950년 이전의 중국 기상 데이터가 부족해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저우톈쥔 교수 연구팀은 과거 해수면 온도(SST)로 구동되는 기기 관측, 재분석 데이터 세트 및 대기 일반 순환 모델 시뮬레이션 자료를 결합해 양쯔강 홍수에 대한 원인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양쯔강 홍수가 열대 엘니뇨와 관련된 해수면 온도 이상과 유라시아 대륙의 온대저기압의 영향이 결합돼 발생했으며, 봄철 폭우도 잠재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연구는 지난 8월 28일 『기후 저널(Journal of Climate)』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양쯔강 홍수가 열대 엘니뇨와 관련된 해수면 온도와 유라시아 대륙의 온대저기압의 영향이 결합돼 발생했다고 밝혔다. [사진출처(Photo Source) = 픽사베이(Pixabay)]
연구팀은 양쯔강 홍수가 열대 엘니뇨와 관련된 해수면 온도와 유라시아 대륙의 온대저기압의 영향이 결합돼 발생했다고 밝혔다. [사진출처(Photo Source) = 픽사베이(Pixabay)]

저우 유에키(ZHOU Yueqi) 중국과학원대학교의 IAP 박사과정생은 "우리는 1931년 양쯔강 유역에서 발생한 홍수가 7월 강우에 의해 발생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931년 7월 총 강우량은 지난 세기 동안 두번째로 높은 수치였지만 강우의 지속성은 1951~2010년까지 최고치를 기록했다"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1931년 7월 지속적으로 내린 강우는 서태평양 아열대성 고기압(WPSH)과 관련이 있었다. 서태평양 아열대성 고기압은 엘니뇨 현상 이후 열대 인도양의 따뜻한 해수면 온도 이상으로 남서쪽으로 확장됐다. 동시에, 온대저기압에 의한 서쪽 제트기류의 남쪽 이동은 7월 서태평양 아열대성 고기압의 북쪽 이동을 방해했다. 서태평양 아열대성 고기압의 지속적인 서쪽 확장은 양쯔강을 따라 강우대(Rainband)를 고정시켜 재난을 촉발했다.

[원문보기]

Unveiling Causes of the 1931 Yangtze River Flood

The 1931 Yangtze River flood in eastern China is regarded as one of the world’s deadliest natural disasters on record. the origins of this monumental flood have remained largely unexplored due to the scarcity of historical records and pre-1950s meteorological data in China.

Based on multiple lines of evidence including instrumental observations, reanalysis datasets, and simulations conducted with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s driven by historical sea surface temperatures, researchers led by Prof. ZHOU Tianjun from the Institute of Atmospheric Physics (IAP)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have investigated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 1931 Yangtze River flood.

They found that the flood resulted from the combined effects of tropical El Niño–related sea surface temperature forcing and extratropical wave activities over the Eurasian continent. They also suggested that the flood was a preconditioned compound event, potentially aggravated by preceding springtime heavy precipitation.

The study was published in Journal of Climate on Aug. 28.

"We found that the flooding in 1931 along the Yangtze River valley was driven by July rainfall. While the July rainfall in 1931 totals ranked second over the past century, they surpassed those of many other pluvial years between 1951 and 2010 in terms of persistence," said ZHOU Yueqi, first author of the study, a Ph.D. student from the University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studying at IAP.

According to the study, the persistent rainfall in July 1931 was associated with a steady western Pacific subtropical high (WPSH). Warm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ies in the tropical Indian Ocean, following an El Niño event, caused the WPSH to extend southwestward. Concurrently, the southward shift of the westerly jet, driven by extratropical wave activities, impeded the typical northward progression of the WPSH for July. This consistent westward expansion of the WPSH anchored the rainband along the Yangtze River, precipitating the disaster.

[출처 =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s)(https://english.cas.cn/newsroom/research_news/earth/202309/t20230907_336141.shtml) / 2023년 9월 8일] 

[번역 = 배민지 차장]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