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편‘불확실성과 리스크에서 물관리(Managing Water under Uncertainty and Risk)’ ①


Global Water Issue 『UN 세계물개발보고서(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제4편‘불확실성과 리스크에서 물관리(Managing Water under Uncertainty and Risk)’ ①

 

지표수·지하수 저장량 증가시킬 녹색기반시설 투자 절실    
물 기반시설·관리에 투자시 다양한 혜택 통해 더 많은 결과 창출

아프리카·아시아 빈곤지역, 식수·농업용수 지하수에 의존…고갈 심각 
물 부족 지역, 에너지용 ‘물 스트레스’ 직면…관련 기술 연구 개발 시급



 
『UN 세계물개발보고서』 제4편은 UN-Water 산하 여러 기관들과 수십 명의 과학자, 전문가, 비정부기구, UN-Water 파트너들이 세계 물개발 평가 프로그램의 조율 아래 지난 3년 동한 수행한 협력의 결과물로서 2012년 3월 발간되었고,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5월14일 한국어판을 발간했다.

본지는 한국수자원공사의 협조를 받아 『UN 세계물개발보고서』 제4편 ‘불확실성과 리스크에서 물관리(Managing Water under Uncertainty and Risk)’ 주요내용(영어 및 한글번역)을 3회에 걸쳐 게재한다. 

[편집자 주]


제1장 물의 중심성과 국제적 규모에 대한 인식

물은 중요한 자연 자원으로 모든 사회적 경제적 활동과 생태계의 기능이 물에 의존한다. 물 관리를 위해서는 물에 대한 고려를 정부의 주변부에서 사회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적절한 물 지배구조 장치가 필요하다. 국가와 지자체 차원에서 적절하게 자금이 투여된 기반시설과 적당히 자금이 투입된 강력한 물 지배구조 메커니즘도 수자원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발전과 물이 주는 혜택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수자원의 전부를 아우르는 특성과 국제적인 양상은 모든 현존하는 그리고 개발 중인 국제 프로세스의 맥락에서 물 이슈를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생태계 유지, 식량 및 에너지 생산, 그밖에 인간이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물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얼마만큼의 물이 필요한 지에 대해서는 큰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가용한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에 의해 악화된다.

물이 지자체 또는 국가, 지역 차원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이슈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확실히 알아 둘 필요가 있다. 역으로 말하자면 물은 세계적 상호 의존성을 야기하며 지자체 및 국가, 하천 유역 또는 지역적 수준에서의 물 사용에 관한 결정은 세계적 동인과 트렌드, 불확실성과 분리될 수 없다.

Chapter 1. Recognizing the centrality of water and its global dimensions 

Water is a critical natural resource upon which all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and ecosystem functions depend. Managing water well requires appropriate governance arrangements that move considerations of water from the margins of government to the centre of society. On national and local scales, appropriately funded infrastructure and adequately funded robust governance mechanisms are required to protect water resources and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water-derived benefits.
The cross-cutting nature of the resource and its global dimensions underline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water issues in the context of all existing and developing international processes. There are major uncertainties about the amount of water required to meet demand for food, energy and other human uses, and to sustain ecosystems. These uncertainties are compounded by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vailable water resources.
Greater recognition is needed of the fact that water is not solely a local, national or regional issue that can be governed at any of those levels alone. On the contrary, global interdependencies are woven through water, and decisions relating to water use on a local, national, river basin or regional level often cannot be isolated from global drivers, trends and uncertainties.

▲ 기후변화는 모든 용도의 물과 수요에 직접 영향을 주는 중심적인 외부 동인이다. 완화조치들은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을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고, 적응은 홍수 및 가뭄, 폭풍 등 극 단적인 기상현상에 대해 계획하고 대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은 사회적·경제적·환경적 활동 모두를 아울러

물 수요와 사용은 사회와 경제 전반에 다양한 혜택을 최적화하고 공유하기 위해서 다양한 물 사용의 균형을 잡는 중요하고 전력적인 프레임워크의 일부로서가 아니라 대개는 세부적인 개발 목표 달성에 목표를 둔 개별적인 방식(사일로)으로 관리된다. 이러한 파편화는 제한된 공급에 의존하는(아마도 제한된 공급을 두고 경쟁하는) 다양한 개발 목표에 대한 리스크 뿐만 아니라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리스크를 증가시킨다. 기후변화는 이러한 문제를 더욱 악화시킨다.

사회적·경제적·환경적 필요를 위해 적정한 물을 공급하는 작업은 대개‘물 부문’의 전유물로 여겨진다. 물 부문은 적절한 기반시설을 공급하고 물을 올바른 방향으로 보내는 기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물은 사회적·경제적·환경적 활동 모두를 아우른다. 따라서 물은 한 부문에 제한될 수가 없다. 물 지배 구조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부문적‘관할권들’을 아우르는 협력과 조율을 필요로 한다. 또한, 물의 가용성은 협소한 부문적인 초점을 뛰어넘는 다양한 요인들과 트렌드, 불확실성의 영향을 받는 물 순환의 맥락 안에서 이해되어야만 한다.

기후변화는 모든 용도의 물과 수요에 직접 영향을 주는 중심적인 외부 동인이다. 완화조치들은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을 중심으로 집중되어 있고, 적응은 홍수 및 가뭄, 폭풍 등 극단적인 기상현상에 대해 계획하고 대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Water demands and uses are often managed in silos with each focused on meeting specific developmental objectives, rather than as part of an overarching and strategic framework that balances different water uses in order to optimize and share its various benefits across society and the economy. This fragmentation increases risks to the sustainability of water resources as well as to the different development objectives that
depend upon (and may be in competition for) limited supplies. Climate change exacerbates this problem still further.
The job of delivering adequate water for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needs is often understood as the preserve of the ‘water sector’,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the appropriate infrastructure and channel water in the right direction. Yet in reality, water cuts across all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ctivities. As such, it cannot be confined to one sector; its governance requires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across diverse stakeholders and sectoral ‘jurisdictions’. Furthermore, water availability must be understood within the context of the hydrological cycle, which is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trends and uncertainties that extend beyond a narrow sectoral focus.
Climate change is a central external driver that affects both water and demands for all uses directly; mitigation measures are concentrated around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emissions, while adaptation means planning and preparing for increasing hydrological variability and extreme weather events, including floods, droughts, and storms.

수자원 지속가능 사용·관리할 지침·정보 제공해야

물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권한과 지도력을 갖고 있는 강력한 기관들의 전체 경제를 아우르는 개입이 필요하다. 이런 기관들이 물 관리에 대해 수동적인 역할이 아니라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하며, 환경적인 지속가능성의 프레임워크 안에서 부문들을 포괄하는 생산적인 물 사용을 촉진해야 한다. 물 공동체의 멤버들은 물의 많은 혜택을 최적화하고 공유하기 위해서 의사결정에 정보와 지침을 제공해야 하며, 규제 당국에 어떻게 수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사용하고 관리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지침과 정보도 제공해야 한다.

효율성과 생산성 이익만으로는 불평등한 자원 공급과 소비 또는 혜택에 대한 접근성을 바꿀수 없다. 물의 전 부문적인 그리고 세계적 양상은 모든 국가들이 당면한 자원 과제를 해결하고 그에 관한 솔루션을 만들기 위한 세계 포럼들에 관심을 가지고 구체적인 공헌을 하는 것을 요구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공동체와 특히 물 관리자들은 그러한 프로세스를 알릴 책임이 있다.

세계 정책 합의의 결과를 수행하는 것은 여전히 국가적 핵심 과제로 남아 있을 것이며, 애당초 각국이 국제 정책을 설정할 책임이 있다. 프레임워크를 설정하는 것은 물 관리에 이해를 가지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부문적 공간적 지평을 넓히는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많은 세계 정책 협약들은 적절한 지방적·국가적 협의 과정 없이 만들어졌으며, 많은 경우 각국의 정치·경제와 제도적 역량을 반영하지 않은 일반적 협약이다. 따라서, 국가적인 수준 또는 지자체 수준의 해당 정책들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위협한다.

Addressing water challenges necessitates interventions across an entire economy, undertaken by strong institutions with the authority and leadership to take a proactiverather than a reactive role in water management, and to drive the productive use of water across sectors within the framework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Members of the water community have the duty to inform and provide guidance on decision-making and to regulatory authorities on how to use and managed the resource sustainably, so as to optimize and share its many benefits.
Efficiency and productivity gains alone cannot alter global patterns of unequal supply of resources and consumption or access to benefits. Addressing the cross-sectoral and global dimensions of water will require that all countries take an interest and make specific commitments in the global forums designed to address and create solutions to impending resource challenges. The water community in general, and water managers in particular, have the responsibility of informing the process.
Implementing the outcomes from global policy agreements will remain a national imperative, and countries are responsible for setting international policy in the first place. Setting the framework requires a widening of the sectoral and spatial horizons of all those who have a stake in water management. However, many of the global policy agreements have been developed without proper local and national consultation processes and are, in many cases, general agreements that do not reflect the political economy and institutional capacities of the countries, thus compromising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aid policies at national and subnational levels.


제1부 현황과 트렌드, 그리고 도전과제 

제2장 물 수요 : 무엇이 소비를 야기하나?

농업용수는 농업 부문 및 도시 부문, 산업(에너지 포함) 부문에서 인출한 모든 물 중 70%를 차지한다. 책임 있는 농업 용수관리는 미래의 세계 물 안보에 주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미래의 농업용수 수요를 예측하는 것은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다. 농업 부문에서의 미래 물 수요는 식량을 제공해야 할 사람의 수와 사람들이 무엇을 어떻게 먹느냐에 의해 결정되는 식량 수요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 농업용수의 수요는 여러 요인들 중에서도 계절적 기후 변동, 농업 생산과정의 효율성, 작물의 종류, 산출량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악화된다.

농업 부문이 직면한 주요 도전과제는 40년 뒤에 식량을 제공해야 할 인구가 70% 이상 늘어난다는 것이 아니라, 식탁에 70% 이상의 음식을 올려놓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장 중에 발생하는 손실과 가치사슬 상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줄인다면 더 많은 생산량 증가 요구를 상쇄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혁신적인 기술들은 작물 산출량과 가뭄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비료와 물, 새로운 살충제와 작물 보호를 위한 비화학적 접근법을 더욱 현명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만들기 위해, 수확 후 손실을 줄이기 위해, 더 지속가능한 축산 및 어업 생산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선진국들은 이러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선진국들은 최빈국이 이러한 기술에 공평하고 비차별적인 조건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할 책임이 있다.


▲ 농업용수는 농업 부문 및 도시 부문, 산업 부문에서 인출한 모든 물 중 70%를 차지한다. 책임 있는 농업 용수관리는 미래의 세계 물 안보에 주요한 기여를 할 것이다.

 

Part 1: Status, trends and challenges  

Chapter 2. Water demand: What drives consumption? 

Agriculture accounts for 70% of all water withdrawn by the agricultural, municipal and industrial (including energy) sectors. Responsibl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will make a major contribution to future global water security.
Predicting future water demand for agriculture is fraught with uncertainty. Future demand for water in this sector is in part influenced by demand for food, which depends in part on the number of people needing to be fed, and in part on what and how much they eat. This is complicated by, amongst other factors, uncertainties in seasonal climatic variations, efficiency of agriculture production processes, and crop types and yields.
The main challenge facing the agricultural sector is not as much growing 70% more food in 40 years, but making 70% more food available on the plate. Reducing losses in storage and along the value chain may go a long way towards offsetting the need for more production.
Innovative technologies will be needed to improve crop yields and drought tolerance; produce smarter ways of using fertilizer and water, new pesticides and non-chemical approaches to crop protection; reduce postharvest losses; and ensure more sustainable livestock and marine production.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are well placed to take advantage of these technologies, but they must also take responsibility to ensure that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have opportunities to access them on equitable and non-discriminatory terms.


10억명 이상이 전기·청정 에너지원 이용 못해

가뭄에 대한 취약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물의 측량과 통제 방법이 향상되어야 하며, 건설된 저수지뿐만 아니라 습지, 토양과 같은 자연적 저장고에 있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저장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시설 건설과‘녹색’기반시설에 대한 투자가 절실히 요구된다.

새로운 상황에 현재의 물 관리 기술을 적용하고 이에 맞춰 기술을 변화시킨다면 많은 혜택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도 전 세계의 약 1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전기나 다른 청정 에너지원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를 만족시키는 것에 더해, 인구증가 및 이주, 경제활동의 증가로부터 발생하는 인구학적 발전 등의 외부 도전과제는 특히 비OECD 국가들에서의 에너지소비 급증을 야기할 것이다.

에너지와 물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양한 에너지원과 전기가 존재하지만, 모두가 원료의 추출 및 열 프로세스에 대한 냉각, 자재의 세척 및 바이오 연료용 작물의 재배, 터빈에 동력 공급 등 다양한 생산과정에 물을 필요로 한다. 반대로, 펌핑 및 운송, 처리, 담수화 및 관개를 통해서 수자원을 인간의 사용과 소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물 부족 지역들은 무엇보다도 더 많은 에너지용 물 스트레스에 직면할 것이며, 1차 에너지와 전력을 개발하기 위해서 더욱 물에 대한 효율적인 기술들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물과 에너지 정책은 대개 상이한 정부 부처에서 수립되고 있지만 정책입안자들 간의 긴밀한 협조를 위해서는 부처간의 통합이 필요하다. 한 산업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려면 적절한 양의 물이, 적정한 수질로, 적정한 곳에,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가격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필요가 있다. 산업은 자신의 우선 과제와 가치들을 먼저 다룸으로써 세계 담수 자원의 지속 불가능한 남용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Reducing vulnerability to drought will require investment in both constructed and ‘green’ infrastructure to improve water measurement and control and, where appropriate, increase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storage in constructed reservoirs and in natural storage in wetlands and in the soil.
Most benefits are expected to come from applying existing water management technologies and adapting them to new situations. Over 1 billion people lack access to electricity and other clean sources of energy today. When added to meeting these needs, external challenges, including demographic development from population increase and migration and increased economic activity, will create a surge of energy consumption, particularly in non-OECD countries.
Energy and water are intricately connected. There are different sources of energy and electricity, but all require water for various production processes, including extraction of raw materials, cooling in thermal processes, cleaning materials, cultivation of crops for biofuels and powering turbines. Conversely, energy is required to make water resources available for human use and consumption through pumping, transportation, treatment, desalination and irrigation.
Regions that are water scarce will face more water-forenergy stresses than others and will need to explore more water-efficient technologies to develop both primary energy and electric power.
Water and energy policies, which are often made in different government departments or ministries, will need to be integrated, with policy-makers increasingly working in close coordination. Effective operation of an industry requires a sustainable supply of water in the right quantity, of the right quality, at the right place, at the right time and at the right price.
Industry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effectively addressing the unsustainable exploitation of freshwater resources around the world by addressing first its own priorities and values.


대도시 빈민지역, 물 공급·위생·배수 문제 증가

2009년에 34억 명이었던 세계의 도시 인구는 2050년에 이르러서는 63억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때 증가한 도시 인구의 수는 같은 기간 동안 증가한 전체 세계인구와 도시로 이주한 일부 농촌 인구의 합계와 동일할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인구가 많은 도시 슬럼 지역에서 적정한 물 공급과 위생, 배수의 문제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괄적인 도시 물 계획과 기술, 투자, 운영을 향상시키기 위한 세계적인 이니셔티브들이 생겨나고 있다.

도시 지역의 물 관리는 더 포괄적인 도시 계획과 통합적 도시 물 관리(IUWM)의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통합적 도시 물관리(IUWM)는 자원관리 구조 안에서 연결점으로써 담수 및 폐수, 유출수 관리를 포함하며, 도시지역이 관리 단위가 된다.

생태계는 가뭄과 홍수라는 극단적인 경우를 포함하는 물의 가용성과 수질을 뒷받침한다. 생태계와 사회, 경제 부문들 간의 치열해져 가는 물 경쟁을 해소하는 것에 대한 증가하는 관심은 더 향상된 통합적 물 관리와 더 지속가능한 개발을 향한 진보의 신호이다.

The urban population of the world is forecast to grow to 6.3 billion people in 2050, from 3.4 billion in 2009. Urban growth will be equal to all of the world population growth over this period plus some net moves from the current rural population. Problems of adequate water supply, sanitation and drainage will increase in the urban slum areas already faced with a backlog of unserved populations. Initiatives worldwide are emerging to address the need for improved and comprehensive urban water planning, technologies, investment and associated operations.
Water management in urban areas can benefit from more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and integrated urban water management (IUWM). IUWM involves managing freshwater, wastewater and stormwater as links within the resource management structure, using an urban area as the unit of management.
Ecosystems underpin the availability of water, including its extremes of drought and flood, and its quality. Growing attention to resolving the increasing competition for water between ecosystems and socioeconomic sectors signals progress towards bette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and more sustainable development.


제3장 수자원 : 가변성·취약성 그리고 불확실성 
 
담수 공급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다. 해마다 건조 기후와 습윤 기후, 건기와 우기 사이에 상당한 가변성이 존재한다. 수자원 관리 계획과 정책은 이러한 담수 공급의 가변성과 분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수자원의 상태는 사회·경제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인출의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수자원의 상태는 범람원의 거주지와 가뭄 취약 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수자원 통제의 필요성뿐만 아니라 인구 증가와 경제 발전, 식생활 변화 등의 동인들의 영향을 받는다.

지난 50년 동안 세계적으로 지하수 인출 속도는 최소 3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인간 사회에서 특히 ‘지하수 농업혁명’을 야기한 관개 부문에서 지하수의 역할을 근본적으로 변화 시켰다. 지하수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빈곤 지역의 12억 명에서 15억 명에 이르는 농촌 가구들의 생계, 식량안보, 기타 지역의 대부분의 인구들의 가정용수 공급에 핵심적이다. 많은 유역에서의 인출은 재충전 속도를 초과했으며, 지속 불가능하다.


▲ 지하수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빈곤 지역의 12억 명에서 15억 명에 이르는 농촌 가구들의 생계, 식량안보, 기타 지역의 대부분의 인구들의 가정용수 공급에 핵심적이다.


Chapter 3. The water resource: Variability, vulnerability and uncertainty

Freshwater supplies are erratically distributed in time and space. From one year to the next, there can be considerable variability between arid and humid climates and wet and dry seasons. Water resource management plans and policies need to take into account this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of freshwater supplies.
The state of water resources is influenced by withdrawals to meet socio-economic demands. This in turn is affected by drivers such as population growth, economic development and dietary changes, as well as the need for control of water resources to protect settlements in flood plains and drought prone regions.
The global groundwater abstraction rate has at least tripled over the past 50 years. This has fundamentally changed the role of groundwater in human society, in particular in the irrigation sector, where it has triggered an ‘agricultural groundwater revolution’.
Groundwater is crucial for the livelihoods and food security of 1.2 to 1.5 billion rural households in the poorer regions of Africa and Asia, and for domestic supplies of a large part of the population elsewhere in the world. Withdrawals in many basins are exceeding the rate of recharge and are unsustainable.

담수 고갈로 수질문제 해결 비용 증가 예상

세계 많은 지역에서 지속 불가능할 정도의 물 인출이 이루어지고 있고 오염의 우려도 높아지고 있지만 지하수 자원은 신중하게 관리만 된다면 미래의 물 수요를 충족시키고 기후변 화에 적응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 단기적으로 빙하의 축소는 연간 강수량 이상의 물을 하천에 추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물 공급을 증가시키고 있다. 장기적으로(수십 년에서 수백 년에 걸쳐서는) 빙하가 사라짐에 따라 그러한 추가적인 물 소스는 사라지게 될 것이며 하천유량 체계에 대한 빙하의 완충효과는 감소할 것이다.

좋은 수질의 충분한 물 공급은 인간과 생태계의 건강과 안녕 그리고 사회, 경제적 발전에 핵심 요소이다. 수질 향상에 관한 지역적 성공사례들이 있기는 하지만, 세계 차원에서 수질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는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수질은 인간과 생태계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는데 물의 양만큼이나 중요하지만, 최근 몇 십 년간 물의 양보다 훨씬 적은 투자 및 과학적 지원, 대중의 관심을 받아왔다. 낮은 수질은 생태계 서비스의 악화 그리고 건강 관련 비용, 농업 및 산업 생산, 관광 등 경제적 활동에 대한 영향, 물 처리비용의 증가, 부동산 가치의 하락 등 수질과 관련된 많은 경제적 비용을 야기한다. 앞으로 담수가 점차 고갈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수질 문제 해결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In spite of valid concerns about unsustainable abstraction rates and pollution in many parts of the world, groundwater resources if carefully managed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meeting the demand for water in the future and to adapting to climate change.
The shrinking of glaciers is, in the short term, adding water to streamflows over and above annual precipitation and thus increasing water supply; in the longerterm (decades to centuries) as glaciers disappear those additional sources of water will diminish and the buffering effects of glaciers on streamflow regimes will lessen.
Sufficient water supply, of good quality, is a key ingredient i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humans and ecosystems and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Though there have been some regional successes in improving water quality, there is no data to suggest that there has been an overall improvement in water quality on a global scale.
Water quality is just as important as water quantity for satisfying basic human and environmental needs, yet it has received far less investment, scientific support, and public attention in recent decades than water quantity.
Poor water quality has many economic costs associated with it, including degradation of ecosystem services; health-related costs; impacts on economic activities such as agriculture, industrial production and tourism; increased water treatment costs; and reduced property values.
With freshwater projected to become an increasingly scarce resource in the coming years, the costs associated with addressing water quality problems can be expected to increase.

▲ 앞으로 담수가 점차 고갈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수질 문제 해결에 필요한 비용이 더욱 증가할 것이다.

제4장 수요를 넘어서 : 물의 사회적·환경적 혜택I  

수자원 관리를 향상하고, 안전한 식수와 기본적 위생설비에 대한 접근성을 증가시키고, 위생을 촉진하는 것은 수십억 명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동 사망률을 낮추고, 모성보건을 향상시키고 수인성 질병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목표달성에 핵심적이다.

물 안전성 계획(Water Safety Planning)에 대한 예방적이고 협동적인 접근법은 비용절감 및 수질의 지속가능한 향상 등의 혜택이 있음을 증명했다. 각각의 리스크 관리 솔루션은 해당 물 공급에 맞춤형일 필요가 있으며, 핵심적인 이해관계 자들은 공동의 목표에 연관되고 전념할 것을 요구한다.

여기에는 집수지 영역에 산업용 또는 농업용, 가정용 폐수를 방류할 지도 모르는 토지 사용자 또는 가정, 그리고 환경 규제의 시행과 집행을 감독하는 다양한 부처의 정책입안자들, 소비자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시행사들이 포함된다.

빈곤 여성들은 경제 위기의 타격을 받으며, 교육 수준이 낮은 여성들은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위기가 오면 노동 참여가 더욱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수자원에 대한 여성의 접근성과 통제권을 향상시키는 정책적 지원과 함께 사회적·금융적 투자는 빈곤에 대한 취약성을 감소시킬 것이며 여성이 식량 및 생계 수단을 확보하고 자신과 가족들의 건강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생태계는 지속가능한 발전에 핵심적인 다양한 혜택(서비스)을 제공한다. 많은 주요 서비스들은 직접적으로 물로 인해 생겨난 것이며, 모든 서비스들은 물의 뒷받침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생태계 건강에 관한 트렌드는 전반적인 혜택의 공급에 관한 트렌드이며, 우리가 물과 균형을 이루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를 나타내는 핵심 지표들을 제공한다.

물이 뒷받침하는 생명을 포함한 생태계의 트렌드는 상황이 균형을 벗어났다는 것을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다. 정책입안자들과 관리자들은 생태계가 물을 공급하고 재사용할뿐 물을 소비하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며, 생태계에서 물이 지속 불가능하게 인출된다면 우리가 제공받을 수 있는 생태계 혜택도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Chapter 4. Beyond demand: Water’s soci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Improving water resource management, increasing access to safe drinking water and basic sanitation and promoting hygiene have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billions of individuals and are critical for the achievement of the goals to reduce child mortality, improve maternal health and reduce the burden of waterborne disease.
A preventive and collaborative approach of Water Safety Planning has demonstrated benefits, including cost savings and sustainable improvements in water quality. Each risk management solution needs to be tailor-made to the water supply in question, and demands that key stakeholders become engaged and committed to a common goal.         These include land users or householders who may discharge industrial, agricultural or domestic waste into a catchment area, policymakers from various ministries overseeing the implementation and enforcement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practitioners delivering water and consumers at the tap.
Poor women shoulder the brunt of economic crises and women with less education tend to increase their work participation more in times of crisis in almost every region of the world. Social and financial investment along with policy support to improve women’s access and control over water resources will reduce vulnerability to poverty and enable women to secure sources of food and livelihoods, and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Ecosystems deliver multiple benefits (services) that are essenti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any of these key services are derived directly from water, and all are underpinned by it. Trends in ecosystem health, therefore, indicate trends in the delivery of these overall benefits and provide a key indicator of whether we are in or out of balance with water.
Trends in ecosystems, including the life they support, are telling us that things are out of balance. Policy makers and managers need to recognize that ecosystems do not consume water. they supply and recycle it. and water taken from ecosystems unsustainably reduces their ability to deliver the benefits we need
ecosystems to provide.

사막화·토지 황폐화·가뭄 등이 물안보 위협

생명을 살리는 일은 점차 나아지고 있지만, 생계와 자산을 살리는 일은 핵심적인 개발 과제로 남아 있다. 특히, 물 관련 재해는 빈곤 감축 노력과 ‘새천년 개발계획’과 같은 개발 목표를 달성하는데 주요 장애물이다.

사막화와 토지 황폐화, 가뭄(DLDD)의 물 부족 관련 주요 영향 중 하나는 식량 불안정과 피해 공동체 특히 건조지대의 개발도상국에서 있는 공동체의 기아를 통해서 파악된다. 만약 건조지대 국가들이 수자원에 대한 사막화, 토지황폐화, 가뭄(DLDD)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물 안보를 달성할 수 있다면, 식량안보를 달성할 수 있는 기회는 크게 향상될 것이다.

다양한 개발 부분들은 대개 그들 모두가 의존하는 유한한 수자원을 두고 서로 경쟁하고 있다. 이러한 붐들이 물에 대한 ‘경쟁 관계’에 있을 수 있지만, 물의 모든 혜택은 지속가능한 경제 개발에 필요하다.

수자원이 제한적인 국가와 지역들에서는 한 부문에 물로 인한 혜택을 주는 결정은 대개 다른 부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미래의 수요에 관한 불확실성은 이러한 과제에 복잡성을 더한다. 수자원이 제한적인 곳에서는 각각의 사용처에 물을 할당하기 위해서, 그리고 각각의 개발 부분에 제공되는 물의 다양한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일정 정도의 트레이드 오프가 필요할 수도 있다.

이는 중요하지만 어렵고 복잡한 도전 과제이다. 물 할당에 대한 결정은 단지 사회적 또는 윤리적인 것만은 아니며 물 기반시설 및 관리에 대한 투자가 다양한 혜택을 통해 더 많은 결과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인 것이기도 한다.

While we are getting better at saving lives, saving livelihoods and assets remains a key development challenge: water-related disasters are a major obstacle to poverty reduction efforts and to meeting development objectives, such a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One of the major impacts of desertification, land degradation and drought (DLDD) associated water scarcity is felt through food insecurity and starvation among affected communities,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drylands. If dryland countries could reduce the impacts of DLDD on water resources and achieve water security, opportunities of achieving food security would be greatly enhanced.
Different developmental sectors are often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for the finite water resources upon which they all depend. While they can be ‘in competition’ over water, it is clear that all the benefits of water are required for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In countries and regions where water resources are limited, decisions made to generate benefits through water from one sector often produce negative consequences for other sectors. Uncertainties regarding future demands add to the complexity of the challenge.
 Where water resources are limited, certain trade-offs may be required in order to allocate water towards different uses in order to maximize the various benefits water provides though different developmental sectors.
This is a critical yet difficult and complex challenge. Decisions about water allocation are not merely social or ethical, but are also economic, such that investing in water infrastructure and management generates increasing returns though these various benefits.


▲ 건조지대 국가들이 수자원에 대한 사막화, 토지황폐화, 가뭄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물 안보를 달성할 수 있다면, 식량안보를 달성할 수 있는 기회는 크게 향상될 것이다.

제5장 물 관리와 제도, 그리고 역량 개발

물의 특징은 모두가 물의 혜택을 보지만 매우 소수만이 왜 그런지 이해하고 있으며 더 소수의 사람들이 실제로 물을 관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 관리는 구조적 옵션과 비구조적 옵션들이 조합될 필요가 있다. 적응적인 통합적 물 관리는 점차 빨라지고 있는 우리 사회와 경제, 기후, 기술의 변화를 다루기 위해 지속적인 적응 과정에 있는 여러 부문들과 정책, 기관들을 아우르는 물 관리에 필요한 통합적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서로 경쟁하는 사용자 집단(예: 상하수도 회사, 농민, 산업, 광산업, 공동체, 환경론자)은 수자원 개발과 관리 전략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이는 통합이 일어나고 많은 잠재적인 혜택이 부상됨에 따라 적응 과정이 더욱 정치적이게 되며, 전적으로 기술적이지만은 않게  된다는 의미이다.

현재 물 관리는 특성상 그리고 인구 증가, 이주, 기술 발전, 농업 및 산업의 발전과 같은 이슈의 타이밍상 예측할 수 없는 변화임에 틀림없다. 기후변화의 망령이 이러한 상황들에 대한 관심을 불러모으며 새로운 양상을 더했다. 물에 대한 게임의 규칙은 종종 물 관리자가 아니라 행위자에 의해 결정되며, 그들에게는 물의 핵심 사안이 아니거나 물의 중심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없을 수 있다. 일관성 있는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결정에 수반한 다양한 트레이드 오프와 함께 주요 부문에서 물 관리에 책임을 지고 있는 의사결정권자들과 연결된 제도적 기구가 필요하다. 많은 이해관계자들이‘규칙 설립’ 프로세스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여전히 물 제도는 대개 기술과 물 공급에 관해 다룬다. 이러한 제도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술적 솔루션에서 프로세스 및 사람들에 대한 관리로 중점이 서서히 변경되어야 하며, 포용적인 의사결정과 상향식 접근법을 포함해야 한다. 국가 차원에서 데이터 및 정보, 지식을 수집·저장하고 물 부문의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배포하는 지속가능한 프레임워크의 수립이 중요하다. 이는 수자원 관리에 관한 의사결정 개선에 기여할 것이다.

공동체 차원에서 의사결정과 자원관리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로는 현지의 이해관계자와 그들을 지원하는 서비스 기관들, 예컨대 정부기구와 농촌지도 서비스, 비정부기구(NGO), 여타 서비스 제공자들이 참여하는 대화 플랫폼 개발 등이 있다.

▲ 여전히 물 제도는 대개 기술과 물 공급에 관해 다룬다. 이러한 제도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술적 솔루션에서 프로세스 및 사람들에 대한 관리로 중점이 서서히 변경되어야 한다.

Chapter 5. Water management, institutions and capacity development 

Water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all benefit from it but few understand why and fewer actually manage it. Water management requires a mix of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options. Adaptive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WRM) can provide the necessary integration of water management across sectors, policies and institutions in a continuous process of adjustment that attempts to deal with the increasingly rapid changes in our societies, economies, climate and technologies.
Competing user groups (e.g. water utilities, farmers, industry and mining, communities, environmentalists) can influence strategies for water resource development and management, meaning that the process becomes more political and less purely technical as integration occurs and a potential basket of benefits emerges.
Water management now has to account for unforeseeable changes in the nature and timing of issues like population growth, migration, and globalization,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technological advances, and agricultural and industrial developments. The spectre of climate change has drawn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se and added a new dimension.
The rules of the game for water are often dictated by actors other than water managers, and are not set with water as their central focus or with the recognition of its pivotal importance. Making coherent decisions, with the various trade-offs they imply, calls for some institutional machinery linking decision-makers in key sectors with those responsible for water management. A wider group of stakeholders needs to be involved in the ‘rule-setting’ process.
Water institutions are still largely technology and water supply drive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se institutions, the emphasis has to gradually change from technological solutions to management of processes and people, involving inclusive decision-making and bottom-up approaches.
At the national level,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sustainable framework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seminating data, information and knowledge to all stakeholders in the water sector, thus contributing to improved decision-making regarding water resource management.
At the community level, concrete steps towards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contributing to improved decision-making and resource management can include creating dialogue platforms involving local stakeholders and their assisting service organisations; for example, government institutions, extension services, NGOs and other service providers.         [다음호에 계속]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