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특집]   Ⅱ. 제7회 세계물도시포럼(WWCF 2021)

“유역관리, 상류관리만 잘 해도 생태계 영향 줄일 수 있어”

댐 등 빗물 집수시설 건설 확대 통해 홍수 발생 가능성 저감 가능
삼림파괴 막기 위한 이니셔티브 추진 위해 지역사회 참여 유도 중요

세션Ⅱ : 중국 샤오싱시의 물문제(Shaoxing’s Water Challenge)

[해결방안] 4개 국가의 중국 샤오싱시 물문제 솔루션 발표

▲ 알바로 에네스토 나바즈 푸언테스(Alvaro Ernesto Narvaez Fuentes) 콜롬비아 보고타시 상하수도공사 총괄, 샤바즈 칸(Shahbaz Khan) 유네스코 베이징사무소장, 나비드 이크발 곤달(Naveed lqbal Gondal) 파키스탄 젤룸시 수도관리 국장, 다미엔 기라우디에(Damien Guiraudie) 프랑스 몽펠리에시 수자원관리실장(사진 왼쪽부터)이 온·오프라인으로 중국 샤오싱시 물문제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토 론 자
• 알바로 에네스토 나바즈 푸언테스(Alvaro Ernesto Narvaez Fuentes) 
 콜롬비아 보고타시 상하수도공사 총괄
• 샤바즈 칸(Shahbaz Khan) 유네스코 베이징사무소장
• 나비드 이크발 곤달(Naveed lqbal Gondal)
파키스탄 젤룸시 수도관리국장
• 다미엔 기라우디에(Damien Guiraudie) 
 프랑스 몽펠리에시 수자원관리실장 


“지속가능 배수시스템 구축해 홍수영향 저감 가능”

■ 알바로 에네스토 나바즈 푸언테스 총괄   중국 샤오싱시는 최근 농업과 산업, 가정하수의 배출이 수질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유역들은 자정능력을 상실한 상태다.

이를 해결할 물관리 방안으로 먼저 지속가능한 배수시스템(Sustainable Drainage, SUDS) 건설을 제안한다. 지속가능한 배수시스템은 단단한 표면으로부터 유거수량과 유속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홍수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고, 빗물이 떨어지는 곳에서 유거수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 또한 될 수 있다. 또 수질 보호, 수질 개선까지 가능하다.

아울러 수로 내 자연적인 수류를 보호할 수 있고 도시 수로 내 야생생물 서식처 제공이 가능하다. 더불어 식생과 지표수로부터 증발산 기회도 제공할 수 있다. 또 지하수, 대수층 수량 보충도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다. 두 번째 솔루션은 유역에서 준설(Dredging of water bodies)하는 것이다. 이 준설을 통해 수상운송 여력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류 범람(downstream flooding)을 막을 수도 있다.

세 번째 솔루션은 고형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Efficient Management of Solid Waste)이다. 여기에는 폐기물 분류부터 폐기물 발생 예방 및 최소화, 선별, 수집 및 이송, 유기 폐기물 관리, 재활용, 폐기물처리장 관리, 매립지 위생 관리, 나아가 에너지 회복 달성까지 포함된다.

이 외에도 산업폐수 처리, 복원 및 회복을 위한 나권형 하수파이프(Spiral Wound Lining)와 같은 기술 사용, 물과 고형폐기물 관리를 위한 사회 인식 제고 캠페인 추진 등을 제안한다.

“수질·홍수 관리 위해 자연기반솔루션 적합”

■ 샤바즈 칸 소장    수질 및 홍수 관리를 위해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 NBS)을 제안한다. NBS는 습지의 식생을 도시 풍경과 어우러지게 설계하는 비교적 간단한 아이디어다. NBS와 관련된 시스템을 이미 적용하고 있는 도시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여기에 그치지 않고 NBS 기술로 수문학적 주기와 식생 간 선순환을 어떻게 달성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특히 영양부하를 어떻게 제거하고 조절할지, 다른 오염원들은 어떻게 관리할지, 기후변화 심화 문제를 어떻게 통제할지를 같이 생각해보고자 한다. NBS를 적용해도 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생물학적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NBS는 습지와 목초지, 토양, 작물이 녹색 인프라(Green Infrastructure)의 일부로 통합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이다. 물의 흐름을 통제하고 토양침식 등을 방지함으로써 수질을 개선하고, 이와 동시에 농업 활동으로 인한 오염 또한 줄여준다. 기타 산업에서 배출되는 오염원을 통제하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NBS는 산업과 이해당사자 모두에게 윈윈(win-win) 솔루션이기도 하며, 지역사회가 소유권을 가지고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장점도 있다.

생물학적 모니터링은 적절한 유기체를 이용하면 가능하다. 이것 또한 NBS의 장점 중 하나다. 시의적절하게 여러 다른 오염원들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생물학적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기계적인 지표들을 통해 종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 지역적인 솔루션이 될 수도 있다. 단순히 수문학적 주기를 바꾸는 데에만 국한되지 않고 지역의 심미적 요소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밖에 홍수관리, 저류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고, 수문 연결도 향상시킬 수 있다.

▲ 두 번째 세션에서는 중국 샤오싱시가 ‘도시화에 따른 하천생태관리 및 복원’이라는 주제로 하천 수생태계 오염 문제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 콜롬비아 보고타, 유네스코, 파키스탄 젤룸, 프랑스 몽펠리에 등 4명의 도시·기관 전문가가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시간을 가졌다. [사진제공 = 대구광역시]

“강의 생태학적 관리·복원 위한 종합적 접근 필요”

■ 나비드 이크발 곤달 국장   샤오싱시가 직면해 있는 문제는 크게 유역관리, 하·폐수 관리, 생태계 복원, 그리고 생태관광의 진흥으로 요약된다. ‘평야를 끼고 흐르는 강의 생태학적 관리 및 복원을 위한 종합적이고 혁신적인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솔루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유역관리는 상류에서 추진하는 솔루션으로 전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상류에서 이행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크게 두 가지를 제안한다. 하나는 공학적 솔루션이고, 다른 하나는 생물학적, 즉 비공학적 솔루션이다. 공학적 솔루션은 댐과 같은 빗물 집수시설을 더 많이 건설해 홍수 발생을 저감하는 것이다.

생물학적인 솔루션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삼림 조성과 같이 삼림 파괴를 막기 위한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때 지역사회의 동기 부여 및 참여 유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농업 부문에서는 병해충 관리, 유기비료 사용, 바이오매스 분해 등을 통해 품질관리를 꾀하는 것이 중요한 솔루션이 될 수 있다.

“하천으로 하·폐수 직접 방류 금지하는 법 제정 시급”

하·폐수 관리를 위해서는 산업폐수·도시하수 등의 하천으로 직접 방류를 금지하는 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하·폐수 처리 분산화를 통해 수원 차원의 솔루션을 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와 함께 생물학적 복원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하·폐수 처리에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안도 지속가능한 접근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생태계 복원과 관련된 솔루션으로는 강물 보충 구역(River Recharge Zone)을 보호함으로써 침식(encroach)을 제어하는 것, 습지를 조성해 홍수를 일으키는 수원 변경을 유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밖에도 지하수 충진, 토양 복원, 염류농업 등을 추진할 수 있다.

생태 관광 진흥을 위해서는 관광객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자리 창출을 통해 환경보호를 위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 펀딩은 다양한 생태관광 시설 건설은 물론 생태계 복원에도 쓰일 수 있으며, 단순히 복원과 보존뿐만 아니라 다른 생태계 자원을 보존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담수 취수 제한·다목적 재이용수 활용 프로젝트 추진”

■ 다미엔 기라우디에 실장   몽펠리에시가 진행하는 프로젝트 중 하나로 다목적 재이용수를 위한 ‘라이프 리와(RecycledWater for LIFE, LIFE ReWa)’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이 프로젝트는 담수 취수를 제한하고 다목적 재활용수 사용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으로 2020년 라이프 프로그램에서 선정됐다. 기후·환경 분야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EU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고 있다.

유럽 지중해 인근 거주민의 20%는 항구적인 물부족에 시달릴 정도로 물 자원이 굉장히 희소하다. 프랑스 몽펠리에시 또한 물부족 때문에 만성 적자에 허덕이고 있으며, 부족한 담수 대부분을 도시로부터 80㎞ 떨어진 론(Rhone)이라는 지역에서 사오고 있다.

몽펠리에시는 지중해와 강에 있는 13개 처리장에서 매년 4천만㎡의 다양한 수질의 처리 하·폐수를 배출한다. 처리된 하·폐수 중 0.01%만이 재이용되고 방류되는 양의 10%만이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연간 3천600만㎥의 물이 잠재적으로 재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유럽 및 프랑스 규정은 관개용으로만 재이용을 승인한다.

‘라이프 리와’ 프로젝트의 주 목적은 처리수 재이용을 통해 새로운 수자원을 발굴·사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술적,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하고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따라서 몽펠리에시의 궁극적 목표는 17만5천㎥의 양을 매년 생산해 양질의 재이용수로 음용수를 대체하는 것이다.

몽펠리에시는 현재 유럽의 멤브레인협회, DV2E라는 특수 컨설팅 플랫폼과 유럽 대학 내 실험실 단계에서 협력하고 있으며, EU(55%), 지역 파트너(25%), 물 관련 공사 등으로부터 프로젝트 비용을 충당하고 있다.

이날 샤오싱시 물문제 해결방안으로는 파키스탄 젤룸시 나비드 이크발 곤달 국장의 의견이 최종 채택됐다. 각 도시 및 기관 대표들은 투표를 통해 나비드 이크발 곤달 국장의 솔루션을 1위에 최종 선정했다. 논의된 내용 및 결과는 세계물도시포럼 공식 웹사이트(www.wwcf.kr)에 게재·공유됐다.

[『워터저널』 2022년 1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