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모든 물을 효율적 관리하는 것이 우리 임무”

GWP, 179개 나라 3천개 이상 파트너 조직으로 구성된 글로벌 행동 네트워크

물, 국가 경제의 새 근간으로 부상…물관리 방식에 혁신과 기술 포함코자 노력

한국, 기술적·제도적 역량과 GWP 네트워크 사이 상호보완성 높아…협력 기대

[특별인터뷰]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글로벌워터파트너십(GWP) 의장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의장 주요 약력・아르헨티나 라플라타국립대학교 졸업・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대학원 및 UNESCO-IHE Institute 졸업・ 풀브라이트(Fulbright), 아이젠하워 재단(Eisenhower Foundation), 예일 월드 펠로(Yale World Fellow) 및 국제 응용 시스템 분석 연구소(International Institute for Applied Systems Analysis, IIASA) 펠로우십・부에노스아이레스시 인프라 책임자・아르헨티나 수자원부 차관・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UBA) 교수・아르헨티나 인프라 및 수자원부 장관・아르헨티나소셜포럼(Argentinean Social Forum) 부회장・아르헨티나공학센터(Argentinean Engineering Center) 부회장 및 국립공학아카데미 교통연구소 회원・Bereco SA & Bereco Labs, Inc. 설립자 겸 CEO・(현) 글로벌워터파트너십(Global Water Partnership, GWP) 의장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의장 주요 약력
・아르헨티나 라플라타국립대학교 졸업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대학원 및 UNESCO-IHE Institute 졸업
・ 풀브라이트(Fulbright), 아이젠하워 재단(Eisenhower Foundation), 예일 월드 펠로(Yale World Fellow) 및 국제 응용 시스템 분석 연구소(International Institute for Applied Systems Analysis, IIASA) 펠로우십
・부에노스아이레스시 인프라 책임자
・아르헨티나 수자원부 차관・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UBA) 교수
・아르헨티나 인프라 및 수자원부 장관
・아르헨티나소셜포럼(Argentinean Social Forum) 부회장
・아르헨티나공학센터(Argentinean Engineering Center) 부회장 및 국립공학아카데미 교통연구소 회원
・Bereco SA & Bereco Labs, Inc. 설립자 겸 CEO
・(현) 글로벌워터파트너십(Global Water Partnership, GWP) 의장

본지 배철민 편집국장 겸 글로벌물산업정보센터장은 지난 11월 23일 오후 대구 엑스코(EXCO) 3층 그리팅룸에서 ‘KIWW 2022’ 행사에 주요인사로 초청되어 한국을 방문한 글로벌워터파트너십(이하 ‘GWP’)의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Pablo Bereciartua) 의장과 단독 인터뷰를 가졌다.

올해로 창설 30주년을 맞은 GWP는 세계은행(World Bank)과 유엔개발계획(UNDP), 스웨덴의 국제개발기구(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y), 아르헨티나 등 9개국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사무국은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다. GWP는 국가가 지속가능하고 공평한 개발을 위해 수자원 관리 및 거버넌스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물이 안전한 세상’이라는 조직의 비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의장은 1971년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태생으로 아르헨티나 라플라타국립대학교를 나와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대학원 및 UNESCO-IHE Institute를 졸업했으며, 아르헨티나 수자원부 차관, 인프라 및 수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

한국물포럼 홍보팀 이나연 차장의 동시통역으로 진행된 특별인터뷰에서는 △‘KIWW 2022’에 참석한 이유 △GWP의 주요활동 △GWP 주관 글로벌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 △물이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한국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캠페인 △‘기후위기에 탄력적인 물환경 조성’을 위한 한국 정부와 국민에게 당부사항 등에 대해 의견을 들었다.

“179개국 3천개 이상 조직으로 구성된 행동 네트워크”

‘KIWW 2022’에 참석한 이유와 글로벌워터파트너십(GWP)에 대한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먼저 대한민국을 방문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한국에 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멋진 나라이다. 제가 이 자리에 오게 된 이유는 GWP 의장 자격으로 초청되었기 때문에 GWP에 대해 말씀드리겠다. 

GWP는 창설된 지 올해로 30년 된 세계적인 네트워크 조직이다. 세계은행(World Bank)과 유엔개발계획(UNDP), 그리고 아르헨티나를 포함해 9개국에 의해 만들어졌다. 179개 나라 3천 개 이상의 파트너 조직으로 구성된 글로벌 행동 네트워크로서 현재 3천5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공공 및 민간 부문 학계와 기관은 물론, 비영리단체(NGO) 또한 우리의 구성원이다. 

GWP의 목적은 전 세계의 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있다. 물이 국가 경제의 새로운 근간으로 떠오르면서 조직을 확대하고 있다. 식량 문제, 에너지 문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물은 점점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의 중요한 의제이자 국제물주간 행사에 참여한 이유도 다 이 때문이다. 한국의 물 관련 정부 및 기관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거나 공동 프로젝트 추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Brief introduction and the purpose of your attendance at ‘KIWW 2022’.

Im very glad to be here. This is my first time in Korea. This is a wonderful country, I have to say in my short visit. The reason that I am here is that I was invited because I am the chairman of the Global Water Partnership, so let me tell you about the Global Water Partnership. 

This is a 30-year-old organization. It is a global network. It was created by the World Bank and the UNDP plus nine countries including my own, which is Argentina. And today it is a 3500-member organization and we are in around 179 countries. 

It is a very global network - very much on the ground. We are members from the private and public-sector academia and all kinds of other kinds of institutions, even NGOs. Our purpose is to include water management across the world. And we are right now facing an inflation point because water is the backbone of the new economy. If you want to solve food, if you want to solve energy, if you want to solve cities - cities for facilities - then water is becoming the center issue ; and our agenda and my presence here has to do with becoming a part of your event in Korea International Water Week, but at the same time, exploring possibilities for partnerships and projects together with Korean institutions and with the Korean government.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GWP 의장은 “GWP는 많은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우리의 주요 우선순위는 혁신과 기술이다. 물 분야가 핵심 분야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매우 보수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물을 관리하는 방식에 더 많은 혁신과 기술을 포함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GWP 의장은 “GWP는 많은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우리의 주요 우선순위는 혁신과 기술이다. 물 분야가 핵심 분야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매우 보수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물을 관리하는 방식에 더 많은 혁신과 기술을 포함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수 솔루션 보유 기업 선별해 재정적 지원 제공”

GWP의 주요 활동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십시오.

GWP는 많은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우리의 주요 우선순위는 혁신과 기술이다. 물 분야가 핵심 분야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매우 보수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물을 관리하는 방식에 더 많은 혁신과 기술을 포함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다행인 점은 실제 그렇게 할 기회가 많다는 것이다.

우리 조직이 발전시키고 있는 프로젝트 중에는 ‘워터 체인지 메이커스(Water Change Makers)’가 있다. 이 프로젝트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방법을 연구하는 강소 기업을 식별하는 글로벌 콘테스트이다. GWP는 경쟁력 있는 기업을 선별하고 그들에게 재원을 제공하는 일을 하고 있다. 

해당 경쟁에서 우수 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약 10만 유로(1억3천600만 원) 상당의 자금을 지원 받게 되며, 이들 중 약 9개 또는 10개 기업에게는 기업의 솔루션을 확장하기 위한 리소스가 제공된다. 이것이 우리가 중요한 솔루션을 식별하고, 민간 부문이 솔루션 행동의 주체가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대표적 예이다. 

Please tell us the specific main activities of the GWP.

We do have activities from many areas, but right now, our main priorities are in three main areas. One of them is innovation and technology. We believe that the water sector is the key sector - but it is also very conservative - and what we would like to do and what we are working for is to include a lot more innovation and technology in the way we manage water. 

The good news is that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for doing that. One project we are developing is what we are calling Water Change Makers, and this is a global contest for identifying key companies - small companies - that are working into really innovative ways of solving water. And what we do is we select them out of competition and we give them resources. 

In this case, it is going to be around 100,000 euros to each of them, and we will be giving nine or ten of them and also to foster and give them resources for scaling all of their solutions. So, this is a concrete example on how we are using our network - this global network - in order to identify key solutions and to give the private sector the opportunity to become a key player in those solutions act of the world. 

“네트워크 구성하는 개인과 조직의 역량·규모 확대 필요”

GWP는 지속가능한 물환경을 지원하는 거대 네트워크입니다. 이 글로벌 조직에 구성원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이 필요한가요. 

GWP가 개방적인 네트워크이긴 하지만, 회원이 되려면 우리와의 인터뷰를 거쳐야 한다. 인터뷰를 통해 해당 분야 이해도가 높고 물(Water)이라는 이슈에 진지하게 임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회원 자격을 부여한다. 회원이 되고 나서 특정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면 주요 회원이 될 것이다. 

주요 회원이 되면, 네트워크 내 자원(개인 또는 조직)을 배치할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될 것이다. 그렇게 전 세계적으로 회원들이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해 물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한 다양한 사례가 있다. 우리의 접근방식이 다중 이해관계자 참여 방식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우리가 기대하는 것은 서로 다른 부서(조직) 간 다리를 놓는 일이다. 물 분야에서 꼭 해결해야 할 사항 중 하나가 바로 ‘임계 질량의 법칙(Critical Mass, 네트워크 형태로 문제 해결에 참여하면 개별 단위에서보다 더 큰 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많은 사람과 조직들이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만 지금보다 그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GWP는 이러한 이해당사자 모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솔루션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세계적인 컨비너(Convener)라고 할 수 있다. 

GWP is forming a network to assist a sustainable water environment, what process is needed to participate in this global movement?

Yes, while GWP is a very open network, so if you want to become a member, we will have an interview with you and if you have a realization from many sources of the kind, and we see that you are working seriously regarding water, then we will allow you to be a member. 

Then if you work on a particular project, you will become a significant member. And you will have the capacity to allocate resources in our network, so there are different cases across the world in different ways members are solving issues and generating new solutions. I want to emphasize that our approach has to do with multi stakeholders participatory approaches. 

What we are really looking forward to is building bridges between and among different departments because we believe that one of the main things that have to be solved in the water world is about critical math. 

So, we look at a lot of significant people and organizations doing things, but we need to scale that up. GWP is a global convener because it has the capacity to reach out to all these different players and link them into solutions that have a higher impact. 

“물의 가치 재평가 통해 물 안보 문제 해결 도모 가능”

물이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가장 우선순위로 해야 할 활동은 무엇인가요. 

물 안보(Water Security)는 부정할 수 없는 핵심 의제이다. 지난 11월 7〜20일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Sharm el-Sheikh)에서 열린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7)’에 참석했을 때에도 물 안보가 정치, 민주적 조직 및 민간 모두에서 핵심 이슈 중 하나가 되고 있음을 느꼈다. 물이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해야 할 일은 물의 가치를 재평가하는 것이다. 

물은 모든 활동의 중심이자 지구상 모든 생명을 위한 핵심 자원이다. 하지만 그러한 물을 제대로 평가하는 방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그만큼 도전적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어려운 일임에는 분명하지만, 인간의 보편적 권리로서 물을 바라봐야 한다. 모두를 위한 물은 물론 지구를 위한 물도 생각해야 한다. 생태계가 건강해지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지금까지 우리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한데, 물의 용도별 가치를 할당할 수 있는 시장을 조성해야 한다. 다시 말해 시장에서 물의 용도별 가치를 매길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민간 부문의 투자 또한 촉진되어 적절한 이윤을 불러올 수 있다. 

우리도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갖고 있는 역동성과 창의성을 발휘하는 데 노력할 것이다. 정리하면, 물이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물의 가치를 어떻게 매길 것인가를 우선순위로 삼아야 물 안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What is the highest priority activity for a watersafe world?

While water security is at the center of the agenda, I was recently at the Corp. 27 at the Key 20 in the valley in Egypt and I saw that security is becoming one of the center issues both for politics, democratic organizations, and the private sector. So, what we need to do is re-evaluate the value of water. 

Water is the center for all kinds of activities and of course, the center resource for life in this planet. However, we have not yet developed a proper way of valuing water because it is a challenge. It is difficult, but we need to have water as a human universal right. Everybody needs water, and we also need to think of water for the planet, because ecosystems really need water in order to develop and to be healthy. 

But at the same time - and this is what we are missing so far - the solution is that we need to shape markets where we are able to allocate different values to different uses of water. We have to identify not only the uses, but the., so if you have the capacity to pay more for water, and you see water for a portable like an industry, then we need to find a way to have a proper value for that use of water. 

Because if we do so, the same happens with energy, and we will try to see a lot of more interest from the private sector in investing into water and in developing and applying all the dynamics and all the creativities that we know we have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So, we are after the priority: how to value water so we can solve water security.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의장은 “모두를 위한 물은 물론 지구를 위한 물도 생각해야 한다. 생태계가 건강해지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이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물의 가치를 어떻게 매길 것인가를 우선순위로 삼아야 물 안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11월 23일 엑스코 3층에서 개최된 물 관련 고위급 회담인 ‘워터 리더스 라운드 테이블(Water Leader's Round Table)’에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의장이 참석한 모습.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의장은 “모두를 위한 물은 물론 지구를 위한 물도 생각해야 한다. 생태계가 건강해지기 위해서는 물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이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물의 가치를 어떻게 매길 것인가를 우선순위로 삼아야 물 안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은 11월 23일 엑스코 3층에서 개최된 물 관련 고위급 회담인 ‘워터 리더스 라운드 테이블(Water Leader's Round Table)’에 파블로 베레시아르투아 의장이 참석한 모습.

“K-water와 ‘Change-maker 2.0’ 핵심 파트너 참여 논의”

한국 사람들의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캠페인이 있다면 알려주십시오. 

우리가 한국 기관 및 한국 정부와 논의해 온 몇 가지 내용을 공유하겠다. 먼저, 한국 정부가 녹색 공적개발원조(ODA) 투자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들었다.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는 GWP와 함께할 대변자가 필요하던 찰나에 이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한국이 마침 그 본보기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GWP는 K-water(한국수자원공사)를 ‘Change-maker 2.0’ 콘테스트의 핵심 파트너 중 하나로 만들기 위해 K-water와 합의 중에 있다. K-water가 이 콘테스트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재정 자원뿐 아니라 인적 자원까지 투자할 계획이라는 점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한국 정부와 논의 중인 또 다른 내용은 한국이 아시아물위원회(AWC)의 최소 옵서버(observer, 관찰자)가 되거나, 또는 그 이상 관여를 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GWP가 세계 각처에서 많은 물 정책들을 달성하고 있지만 AWC 회원은 아니다. 이번 ‘KIWW 2022’ 방문에서 제가 AWC의 옵서버(관찰자)로 초청을 받았고 향후 GWP가 AWC의 공식 옵서버 및 회원이 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파일럿 접근법(pilot approaches, 소규모 초기 적용) 모색을 위해 한국 정부와 계속해서 협력하고 싶다. 이러한 작업은 꼭 한국 내에서 이뤄질 필요는 없다. 한국 사회의 일부 역량과 GWP의 네트워크가 협력할 수 있는 곳이라면 세계 어디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예로 혁신, 기술과 더불어 확실한 구체적인 초기 접근을 중심으로 예상하기론 3〜6년 사이에 협력의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것이 정치 시스템에 매우 긍정적이라고 믿는다.

If there is a campaign that can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the Korean people. Please, let us know.

Let me share with you some of the more interesting things we have been talking about with Korean institutions and the Korean government.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congratulate the Korean government for agreeing to the ODA because I have been inform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is really increasing the amount of investment in the green ODA. This is very significant because it comes back to my previous comment: We do need champions. So, Korea doing that is standing up. Im showing an example to our countries. 

Along those lines, we are discussing and coming to an agreement with K-water in order to have them as one of the key partners for what our Change-makers 2.0 so we are really happy that they see value in this contest and that they will be allocating some resources, not only financial resources but also human resources - creativity and capacity of reaching out to other partners. 

This is a very concrete case we are discussing with them. Another issue we are discussing with the government is that Korea is slowly becoming an observer of the Asian Water Council at the very least. So, we are achieving many of the main water policies in the world, but we were not AWC. In this visit, I was invited to be an observer of the AWC and as a consequence of that, we are now considering becoming a formal observer/member in the future. 

The last example that I want to showcase with you is that we would like to continue talking with Korean governments about possibilities of identifying pilot approaches. In fact, they don't have to be in Korea, for they can be in any other place in the world where we can collaborate our networks together with some of the capacities of the Korean society. For example, innovation and technology, as well as working around very concrete pilot cases where we can see the outcomes of those panel ships along the time of what we are thinking about in three to six years for this collaboration. We believe that this is very positive for the political system.

“한국, 기술·혁신 역량은 물론 제도적 역량도 우수한 나라”

‘기후위기에 탄력적인 물환경 조성’과 관련해 우리 정부와 국민에게 하고 싶은 말이나 당부가 있다면 말씀해 주시죠. 

한국인들이 미래를 낙관하는 긍정적인 사람들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러면서도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시각을 갖고 일을 한다.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일이 아니어서 이례적이면서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한국이 갖추고 있는 역량과 GWP의 네트워크 사이에 아주 강력한 상호보완적 관계가 있음을 강조하고 싶다. 한국은 기술과 혁신 측면뿐 아니라 제도적 측면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나라다. 이는 굉장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If you have anything you would you like to say or request to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people regarding ‘Fostering Water Environment Resilient to Climate Crisis’. 

As I've said before in discovering Korea, I have noticed that Koreans are people who are very positive about the future. You are working with a long-term, systematic view, and I think this is very unusual yet quite significant because you don't happen to see a lot of that around. 

So, I would like to stress that there is a very strong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GWP networks on the ground, with the capacities that I am learning Korea has to offer. My impression so far is that Korea is obviously very strong in terms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but also is quite strong in terms of institutions, and I thought this was a blast.

인터뷰 종료 후 본지 배철민 편집국장(왼쪽), 이나연 한국물포럼 홍보팀 차장(오른쪽)과의 기념촬영 모습.
인터뷰 종료 후 본지 배철민 편집국장(왼쪽), 이나연 한국물포럼 홍보팀 차장(오른쪽)과의 기념촬영 모습.

[대담 = 배철민 편집국장 겸 글로벌물산업정보센터장 
동시통역 = 이나연 한국물포럼 홍보팀 차장 / 촬영·사진 = 한국물포럼]

※본 인터뷰 내용은 한국물포럼 유튜브(https://www.youtube.com/watch?v=djqcinATxF4)에서 영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워터저널』 2022년 12월호에 게재] 

저작권자 © 워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